김남근 의원 “MBK의 홈플러스 사태, 국민연금 손실 철저히 점검해야“

경제·산업 입력 2025-08-07 16:26:43 수정 2025-08-07 16:26:43 정창신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김남근 의원 SNS]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이 SNS를 통해 홈플러스 사태를 일으킨 MBK파트너스와 이곳에 투자한 국민연금을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연금은 MBK가 조성한 펀드에 주요 출자자일 뿐 아니라, MBK가 2015년 인수했다가 올해 3월 ‘기습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홈플러스에도 투자했다. 이로 인해 수천억원의 손실을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 의원은 지난 6일 본인 SNS에 올린 ‘국민연금, 홈플러스 사태에 역할을 다 해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MBK파트너스는 10여개 회사들을 부실하게 만든 전력이 있다”며 “그럼에도 국민연금은 MBK의 행위를 조사하거나 책임을 묻지 않았고, 다른 기관 투자자들과 연합해 투자를 제한하는 등 사회적 책임 투자자로서 역할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국민연금이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만 세웠어도 MBK가 국내에서 사모펀드를 만들어 사업을 벌이는 건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사회적으로 비난받는 행동을 대규모로 해온 사모펀드에 대해서는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이 명확히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앞서 지난해 9월 MBK가 국가기간산업인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M&A를 시도할 때도 국민연금이 MBK의 투자자로 참여하기로 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벌어진 바 있다. 국민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국가와 지역사회의 지지와 지원으로 성장한 기업을 사모펀드가 빼앗는 데 자금을 지원하는 게 적절하냐는 비판이었다. 

이후 국민연금은 적대적M&A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MBK와 투자계약을 맺었으나, 홈플러스와 고려아연 사태 뿐 아니라 과거 많은 기업의 부실화가 사회적 논란으로 확산되면서 국민연금 등 공적기금이 MBK에 아예 투자를 하지 않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김 의원은 “최근 MBK는 홈플러스 지분을 포기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결과 가장 큰 손실을 보는 곳은 결국 국민연금”이라며 “국민연금이 얼마나 손실을 보는지, 이 포기가 홈플러스 사태 해결에 얼마나 유의미한지 철저히 점검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2015년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6100억여원을 투자했다. 이 가운데 약 3000억원은 현재 회수하지 못한 상태다. MBK의 기습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이 돈을 회수할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아울러 김 의원은 “국민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보다 책임 있는 투자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도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 여부를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한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덧붙였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csjung@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