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협 "영구폐쇄형 인프라펀드 투자 확대"
금융·증권
입력 2025-08-18 15:37:32
수정 2025-08-18 15:37:32
김효진 기자
0개
"인프라펀드 통한 생산적 금융 드라이브 확대할 것"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금융투자협회와 자산운용업계는 금융당국이 발표한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회계 애로사항 논의”(8월12일 금융위원회) 결과에 대해 적극적인 투자확대 의지로 화답했다.
그간 금융회사가 펀드를 통해 초장기 인프라사업에 참여할 경우, 그 평가손익이 매년 당기손익(FV-PL)에 반영될 우려가 있어, 자본활용성에 제약요소로 작용되어 왔다.
실제로 인프라펀드 결성건수 기준 상위 6개 운용사 집계 결과, 2020년 2조1000억원에 달했던 인프라펀드 규모가 2024년 6000억원 규모로 급감하였으며, 특히 금융업권 중 투자비율이 높았던 보험사의 경우,올해 들어 신규 투자가 전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협회는 회계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회계기준원에 공식 질의를 신청했고, 회계기준원이 만기를 정하지 않은 폐쇄형 펀드는 투자자가 FV-OCI(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처리할 수 있음을 회신함에 따라, 향후, 영구폐쇄형 펀드를 통해 인프라 사업에 민간자금공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올해 기재부는 사회기반시설의 적기공급을 위해 18조5000억원+α 규모로 환경, 도로, 철도 등 신규 사업을 발굴할 예정인데, 기존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를 통과한 사업이 영구폐쇄형 펀드를 통해 순차적으로 자금조달 문제가 해소될 경우, 올해 사업집행 실적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새정부의 미래 전략형 사업인 인공지능 등 성장 및 산업경쟁력 강화,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대응, 지역소멸 대응 및 지역균형발전 등 새로운 유형의 공모형 민간투자 사업에도 금융회사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정부와 긴밀한 논의를 통해 자금조달 스케쥴을 포함한 구체적 실행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산운용업계는 이러한 인프라사업에 금융회사 등 기관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는 영구폐쇄형 펀드를 조성하여 높은 투자위험을 감내해야하는 후순위대출, 지분출자 등에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며, 기재부(민투과)에서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추진중인 출자전용인프라펀드 집행, 신용보증 공급확대(2→4조원) 등의 정책과 시너지효과를 통해 인프라 사업에 참여할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자산운용·부동산본부장(전무)는 “관계당국의 적극적 지원으로 장기 인프라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 출시가 가능해졌다"고 언급하며, “협회는 금융당국과 협의하여 업계의 펀드규약 마련을 지원하는 등 영구폐쇄형 펀드가 민자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 라고 밝혔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디에스케이, 폐창고와의 수상한 거래…안갯속 M&A
- 중앙첨단소재, 분주한 계열사 자금 이동…수상한 대주주 변경
- 신한은행 런던지점, 영국 금융당국 파생상품 영업인가 획득
- 7월 코픽스 0.03%p 하락…주담대 변동금리 10개월 연속 하락
- 우리은행, 2025년 하반기 신입행원 채용 실시
- 마스턴운용, 하반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 전망 보고서 발간
- KB증권, ‘매일매일 콕! 챌린지’ 시즌 이벤트 실시
- 씨피시스템, 상반기 흑자전환…주요 산업군 시설 투자·증설 본격화
- 아우딘퓨쳐스, 상반기 매출 217억…전년比 45.9%↑
- 우양, 2Q 영업익 전년비 152%↑…하반기 유럽 수출 본격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천시, 인구 20만 목표···달성 가능성은?
- 2기장군 숙원 '월내~고리간 상습해일 피해방지시설사업' 마무리
- 3부천시, 골목형상점가 지정 간소화로 상인 편의 높인다
- 4인천, 소래습지 국가공원화 계획 본격 추진
- 5윤환 인천 계양구청장, 산업안전보건위원회서 안전한 일터 강조
- 6김병전 부천시의회 의장, 광복절 경축식서 만세 삼창
- 7인천관광공사, 사운드 플래닛 지역 상생모델 선보여
- 8유정복 인천시장, ‘i분 도시’ 국제 공동연구 나서
- 9경상원, ‘인권경영시스템 인증’ 획득...인권 보호 가이드라인 준수 ‘우수’
- 10인천시-공무원노조, 부패 제로·청렴 확산 공동 행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