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GLP-1 비만약 출시 가시화…국내선 일동제약 도전
경제·산업
입력 2025-08-29 17:21:04
수정 2025-08-29 18:55:44
이금숙 기자
0개

[앵커]
위고비, 마운자로 같은 GLP-1 치료제가 단순히 비만 치료를 넘어 지방간, 심혈관질환 등 대사질환들을 한 번에 해결하는 ‘만능 약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주 1회 맞는 주사제 형태였지만, 환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경구용 알약 개발 경쟁이 전 세계적으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금숙 기자입니다.
[기자]
비만 치료제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
GLP-1 계열 약물은 소장에서 나오는 GLP-1 호르몬의 유사 성분으로, 혈당을 낮추는 동시에 위 배출을 지연시키고 식욕을 줄여 체중을 15~22% 감소시킵니다.
주 1회 놓는 피하주사 제형이어서 생체 이용률은 높지만 환자 편의성이 낮고, 2~8도 냉장 보관이라는 불편이 따릅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약사들은 경구용 GLP-1 약물 개발 경쟁에 돌입했습니다.
가장 앞서 있는 곳은 노보노디스크입니다.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가 임상시험에서 주사제와 비슷한 체중 15% 감소 효과를 보였고, 올해 말 미국 FDA 승인 여부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릴리도 뒤쫓고 있습니다. 오포글리프론 임상 3상에서 최고 용량(36mg) 투여군이 평균 10.5% 체중 감소를 보였고, 당화혈색소 수치도 최대 1.8% 낮췄습니다. 릴리는 연내 FDA에 허가 신청을 할 계획입니다.
국내 기업들의 도전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일동제약은 저분자 기반의 경구용 GLP-1 후보물질(ID110521156)을 가지고 현재 국내 과체중 성인 대상 임상 1상을 진행, 마무리 단계에 있습니다. 지난 6월 미국당뇨병학회에서 발표된 결과에 따르면 4주간 평균 6.9%, 최대 11.9%의 체중 감소가 관찰됐습니다. 특히 위장관계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에 큰 문제도 없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습니다.
일동제약은 후속 임상과 함께, 기술이전 등 상용화에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임상 1상 막바지인 것을 고려했을 때, 예정대로라면 향후 5년 안에는 국산 GLP-1 경구 약을 만나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앤디파마텍은 먹는 GLP-1 치료제 후보물질(DD02S)을 2023년 미국 제약사 메쎄라에 기술 이전했습니다. 현재 북미에서 임상 1·2상이 진행 중입니다. 대웅제약, 삼천당제약, 프로젠 등은 GLP-1 비만 치료제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특허 출원을 하는 등 경구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먹는 GLP-1치료제, 글로벌 빅파마뿐 아니라 국내 제약사들도 발 빠르게 뛰어들면서 누가 개발 성과를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서울경제TV 이금숙입니다. /ks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현대제철, 국내 철강사 최초 호주 철강지속가능성 인증
- [위클리 비즈] '케데헌' 돌풍…빌보드 넘어 스크린까지
- SK, 울산서 AI 데이터센터 첫 삽…“AI 허브 도약”
- SK vs 솔루스 ‘동박’ 패권 다툼…韓·美·유럽서 격돌
- 투자 제로 ‘깡통 VC’ 급증…벼랑 끝 초기 창업자
- 신세계푸드, 선택과 집중?…성장 동력 어디에
- 中에 밀린 ‘K-로봇’ 반격…“가격·기술 경쟁력 높인다”
- KIMCo, 제약사 손잡고 바이오벤처 키운다…157억원 펀드 운용
- 림팩스컨설팅, 실행 중심 컨설팅으로 기업 위기 극복 지원
- 베스트텍, 한국ESG경영대상 ‘THE BEST ESG’ 중소기업 대상 수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