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시장, 20년 만에 트렌드 전환…‘SUV·전기차’ 대세
경제·산업
입력 2025-09-20 08:00:07
수정 2025-09-20 08:00:07
이혜란 기자
0개
세단 전성시대에서 SUV로, 법인차 중심에서 개인으로 대세 전환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수입 승용차 시장 트렌드가 ‘법인·세단·내연차’에서 ‘개인·RV·친환경차’로 재편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창립 30주년을 맞아 지난 20여 년간 국내 수입 승용차 시장의 변화를 통계로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협회는 이번 변화를 다양성, 대중화, 친환경, 차별성 등 4가지 키워드로 요약했다.
2003년 신규 등록된 수입 승용차 가운데 세단은 1만6171대로 전체의 83.0%를 차지했지만, 2025년 8월 기준으로는 42.8%까지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RV(레저용 차량)는 17.0%에서 57.2%로 늘며 과반을 넘어섰다.
2003년 등록 기준 법인 비중은 56.3%, 개인은 43.7%였다. 그러나 2025년 들어서는 개인 등록이 63.9%로 늘고, 법인은 36.1%에 그쳤다.
지역별로도 2003년 54.5%를 차지했던 서울 등록 비중은 2025년 14.5%로 줄고, 인천을 비롯한 지방 등록 비중이 크게 늘었다.
배기량 변화는 친환경 전환을 잘 보여준다. 2000cc 미만 차량 비중은 2003년 18.7%에서 2025년 42.5%로 확대된 반면, 3000cc 이상 차량은 61.4%에서 4.2%로 급감했다.
연료별로는 2003년 가솔린이 97.8%를 차지했지만, 2025년에는 하이브리드 57.5%, 전기차 27.8%로 전체의 85.3%를 차지하며 시장이 친환경차 중심으로 재편됐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 중인 수입 승용차 친환경 라인업은 22개 브랜드, 320여 개 모델에 달한다.
2003년 국내에 진출한 수입차 브랜드는 16개였지만 2025년에는 26개로 늘었다. 같은 기간 모델 수는 170여 종에서 520여 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국산 승용차 모델 수가 120여 종 수준임을 감안하면, 수입차의 다양성이 소비자 선택권을 크게 넓힌 셈이다.
수입 승용차 점유율은 2003년 1.9%에서 2024년 18.3%로 확대됐다. 총등록대수 비중도 13.3%에 이른다.
연간 신규 등록 대수 역시 2003년 1만9481대에서 2024년 26만3288대로 13배 이상 늘었고, 2025년 8월까지도 19만2514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했다. /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소비쿠폰 효과'에 취업자 31만2000명↑…청년·건설업은 부진
- "맛∙감성∙편의 잡았다"…간편식이 바꾸는 캠핑 밥상
- “한 알로 여러 질환 치료”…제약업계, 복합제 개발 경쟁
- 이통사, 해킹 여파 본격화…"3분기 영업익 1조 하회"
- "과일향, 사탕향"…가향담배, 청소년 흡연의 덫으로
- “벌점 42점 한 번에”…불성실공시법인 지정된 부실 상장사
- "어린이·반려동물과 함께"…가을 나들이 좋은 스타벅스 매장 어디
- 가을 산행객 급증에…"안전수칙 준수해야"
- "유럽 입맛 잡는다"…식품업계, '아누가 2025'서 현지화 승부수
- MBK·두나무·신협…금융社 수장 국감장 줄소환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수원특례시, 통학로 안전위해 대응체계 강화
- 2윤환 인천 계양구청장, 기관 협력으로 지역 발전의 길 열다
- 3파주시의회, “아동안전망, 하교시간 중심으로 재정비해야”
- 4기후급식 …지속가능한 학교급식 위한 소통의 장
- 5평택시 안전한국훈련 '2025 시민과 함께'
- 6김포, '식품 시리즈 출시'…세계에 김포쌀 우수성 알린다
- 7푸디스트, 장애인 근로자 고용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
- 8장수광장서 즐기는 가을의 한잔…'막걸리 체험 페스타' 25일 개최
- 9김한종 장성군수 "역사·매력 간직한 마을축제에 많은 관심을"
- 10발음 어눌해지고 한쪽 팔다리 힘 빠진다면…‘뇌졸중’일 수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