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기업 78%, AI 에이전트 도입”…생산성 극대화 위한 ‘신뢰 기반 거버넌스’ 강조

경제·산업 입력 2025-10-30 11:01:50 수정 2025-10-30 11:01:50 정창신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워크데이]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기업의 인사, 재무 및 에이전트를 위한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업 워크데이는 최근 진행한 AI 에이전트관련 글로벌 연구 ‘AI 에이전트 인 더 워크포스 스터디(AI Agents in the Workforce Study)’의 한국시장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 전반에서 AI 에이전트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재무(Function) 부문이 그 중심에서 도입을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전체 기업의 78%가 이미 AI 에이전트 도입을 위한 초기 프로덕션(42%) 또는 롤아웃(36%) 단계에 있다고 응답해, AI가 이제 디지털 전환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재무(Function) 부문에서는 83%의 기업이 롤아웃(50%) 또는 초기 프로덕션(33%) 단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무 부문이 국내 기업 전반에서 AI 에이전트 도입을 주도하는 핵심 동력임을 입증했다.

기업 경영진의 97%가 AI 에이전트가 생산성 향상은 물론, 혁신 촉진과 직원 만족도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응답했지만, 이제 전략적 초점은 기술적 과제에서 ‘거버넌스 성숙도(Governance Maturity)’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윤리적·거버넌스·규제 관련 이슈가 기술적 또는 재무적 과제보다 훨씬 더 시급한 핵심 전략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AI 도입 확산의 다음 단계가 ‘신뢰 기반의 체계적 관리’에 달려 있음을 시사했다.

이러한 고도화된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워크데이는 IT 부서가 손쉽게 맞춤화할 수 있는 유연한 사전 구축형AI 에이전트 솔루션을 우선적으로 도입하고, 여기에 강력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와 명확한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결합할 것을 권장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간 중심의 감독을 유지하면서도 빠르고 안전한 확장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샨 무어티(Shan Moorthy) 워크데이 아태지역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현재 우리는 몇 세대에 한번 찾아오는 역사적 전환점에 서 있다. 이는 우리가 ‘일하는 방식’뿐 아니라 ‘누가 일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의를 이뤄내는 결정적 순간으로 AI는 인간의 판단력, 리더십, 그리고 생산성을 보완함으로써, 기업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속도와 규모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신뢰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가치이며, 직원이 ‘일의 미래’를 함께 창조할 때 비로소 신뢰가 구축되고, 그 신뢰를 바탕으로 AI의 효과적인 도입이 가능해진다”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의 78%는 이미 AI 에이전트 도입을 위한 초기 프로덕션 또는 롤아웃 단계에 있으며, 이는 AI가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줬다.

재무 부문에서는 83%의 기업이 롤아웃 또는 초기 프로덕션 단계에 있으며, 향후 3년 이내 67%의 기업이 재무 기획 및 재무 보고 등 주요 기능 전반에서 AI 에이전트 활용을 본격적으로 확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기업(40%)은 자체 개발이 아닌, 사전 구축형AI 에이전트를 조직의 요구에 맞게 수정·적용하고 있으며, 이는 확장성과 보안을 동시에 고려한 실용적 전략으로 평가된다. 반면, 완전한 자체 개발을 진행 중인 기업은 단 1%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71%는 AI 에이전트 도입 시 편향, 데이터 프라이버시, 법적·규제적 이슈 등을 포함한 윤리 및 거버넌스 관련 과제를 주요 고려 요인으로 꼽았다. 반면, 기술적 장벽은 11%, 재무적 장벽은 3%에 그쳤다.
 
특히 변화하는 규제에 대한 준수 보장이 핵심 재무 부문에서 AI 에이전트 도입의 최우선 과제(50%)로 지목됐다.

이러한 윤리적 가이드라인과 인간 중심의 감독을 통한 규제 준수 선호 현상은 강력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명확히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국내 기업 경영진은 AI의 업무 환경 내 투자 수익률에 대해 매우 높은 기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진 대부분(전체 경영진의 97%)이 AI 에이전트가 생산성을 높일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95%는 직무 만족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가장 일반적인 소싱 전략은 사전 구축AI 에이전트를 조직의 요구에 맞게 수정하는 방식으로, 40%의 기업이 이러한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약 79%는 IT 또는 테크놀로지 부서가 AI 에이전트 관리의 주요 책임 부서가 돼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거버넌스 및 보안이 맞춤화 요구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기업 경영진이 나아가야 할 핵심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AI의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투명성을 통한 신뢰 구축과 사람 중심의 역량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워크데이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은 AI 에이전트 도입을 본격적으로 확장함과 동시에 높은 윤리적 기준을 충족하고 보안성과 감사 기능을 갖춘 비즈니스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이러한 전략적 전환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csjung@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