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연쇄 구조조정…“대작 개발 방식 재검토”
경제·산업
입력 2025-11-06 17:25:36
수정 2025-11-06 18:29:37
이수빈 기자
0개
[앵커]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잇달아 조직 개편에 나서고 있습니다. 계속된 흥행 부진으로 인한 조정이지만, 그 이면에는 비효율적인 대형 개발 구조를 바꾸려는 체질 개선 움직임이 깔려 있는데요. 다만 잇단 인력 재배치로 오히려 현장 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잇달아 조직 개편에 나서고 있습니다.
넥슨은 지난달 자회사 니트로스튜디오의 파산을 결정했습니다.
대표작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의 부진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남은 인력은 넥슨코리아 본사로 흡수됐습니다.
컴투스도 지난달 ‘제노니아’ 시리즈를 담당한 라온스튜디오를 해체했고, 위메이드 역시 콘솔 신작 ‘블랙벌처스’ 개발팀을 해산했습니다.
흥행 부진이 직접적 원인이지만, 비효율적인 대형 개발 구조를 개선하려는 목적이 더 크다는 분석.
최근 업계에선 대작 한두 개에 모든 역량을 쏟아 붓는 방식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수년간 수백 명의 인력이 투입되는 초대형 장기 개발 방식은 한 번의 실패가 곧 막대한 손실로 이어지는 고위험 구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게임사들은 최근 외주 개발사와의 협업을 늘리고, 내부 인력을 유연하게 재배치해, 작고 빠른 개발 체계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초기에 적은 비용으로 시장 반응을 검증하고 흥행 가능성이 보일 때 집중 투자하는 구조로 바꾸려는 겁니다.
다만 잇단 스튜디오 해체와 전환 배치로 개발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창의적 실험의 여지가 좁아졌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구조조정이 단기 비용 절감에 그치지 않고 개발 효율을 함께 높이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G, 3분기 영업익 4653억…전년比 11.4%↑
- CJ CGV, 3분기 영업익 233억…전년比 27.2%↓
- 아모레퍼시픽 그룹, 3분기 영업익 1043억…전년比 41%↑
- BGF리테일, 3분기 영업익 977억…전년比 7.1%↑
- 한국앤컴퍼니그룹, 글로벌 車부품 전시회 공동 참가
- CJ프레시웨이, 3분기 영업익 336억…전년比 19%↑
- 건설업계, CEO 인사 칼바람?…“교체보다 안정”
- 하이트진로, 성장 제동…국내도 해외도 ‘막막’
- 현대차 무뇨스 “올해 위기 대응력 증명”…‘수익성 강화’ 주력
- 포낙 귓속형 보청기, ‘2025 청각 기술 혁신 어워드’ 수상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영남이공대, 지역연계 신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과평가회 개최
- 2영덕군,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 선정
- 3영덕군, 2025·26 산불 감시원 발대식 개최
- 4영덕군, 영덕도예문화체험장 본격 개장
- 5계명문화대, 우즈베키스탄 KOICA 직업훈련원과 직업교육 협력 강화
- 6영남대, ‘국내 TOP5’ 연구력 입증…라이덴랭킹 2년 연속 쾌거
- 7iM뱅크(아이엠뱅크), 2025 을지연습 평가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 8KT&G 대구경북본부, 대구대에 지역 인재 양성 위한 장학금 기탁
- 9강대식 의원, '장생탄광 강제동원 진상규명 및 희생자 지원에 관한 특별법' 대표발의
- 10수성구, ‘내일을 키우는 힘, 저출생 시대 길을 찾다’. . .저출생 대응 포럼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