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에어서울, 1년새 항공안전성 2단계 강등

아시아나항공과 에어서울이 항공 운송 서비스 평가 안전성 부문에서 지난해 보다 평가 등급이 2단계 강등되며 국내 항공사 중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국적 항공사 정시성은 대부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 보호 부문에서 에어부산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진행하는 이 평가는 ▲ 정시성 ▲ 안전성 ▲ 소비자 보호 충실성 ▲ 공항서비스 등 정량평가와 이용자만족도 정성평가로 이뤄졌다. 국내 항공사만 놓고 보면, 국제선 정시성 부문에서 모든 항공사가 A등급(매우우수)을 받았고, 국내선 정시성은 모두 B등급(우수)을 받았다.안전성 부문에서는 희비가 엇갈렸다. 에어부산과 티웨이항공이 A등급을 받아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고, 대한항공·이스타항공·제주항공·진에어가 B등급을 받았다. 아시아나항공과 에어서울은 C등급(보통)으로 가장 낮은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두 항공사는 전년(2016∼2017년) 평가에서는 A등급이었다가 1년 사이 등급이 두 계단이나 떨어져 안전 분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평가에서 안전성은 항공사 사고율, 안전 관련 과징금 및 항공종사자 처분 건수, 항공사 안전문화 등을 종합해 등급을 산출했다. 소비자 보호 부문에서는 대한항공·에어서울·이스타항공·진에어·티웨이항공이 A등급을, 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이 B등급을 받았다.에어부산은 가장 저조한 미흡(D등급)을 받았다. 이는 작년 11월 발생한 ‘기내 장시간 대기 사태’로 인해 과태료를 부과받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공항서비스 평가에서는 국내 대부분 공항이 수속절차 신속성이나 수하물처리 정확성 부문에서 A등급을 받았다. 공항이용 편리성 부문에서는 인천공항이 유일하게 A등급을 받았고, 김포·김해·제주공항은 B등급, 청주·대구공항은 C등급에 그쳤다.
한편,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2018년에 안전 이슈 관련한 행정 처분이 몰리면서 안전성 평가에 크게 영향을 미쳤지만, 2019년 정비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a350,a321neo 등 신기재를 지속적으로 도입, 안전성을 강화해 고객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중"이라고 밝혔다. /김혜영기자 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쇼핑 “2030년까지 베트남 복합 쇼핑몰 2~3곳 확대”
- 두산로보틱스, 이노베이션 센터 오픈…“R&D 역량 극대화”
- 현대건설, 30억달러 수주 잭팟…500억달러 목표 ‘탄력’
- 의료AI로 심정지 등 '사망 위험 예측'…뷰노·AI트릭스 주목
- “한 해 언팩 네 번”…삼성 ‘두 번 접는 폰’ 출시 임박
- ‘체질 개선’ 삼성SDS…80% 넘는 내부거래 극복할까
- “美 HEV 골든타임 왔는데”…관세로 日에 밀리나
- 삼성TV, 10년만 경영진단…실적 부진에 사업 재점검
- 中企업계, 노동안전 종합대책에 "엄벌주의 접근 부작용 우려"
- GC녹십자웰빙, ‘통증대가 심포지엄’ 성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고양시, 학군 배정 문제 '심각'..."학교는 없고 통학만 고생"
- 2하이원리조트, 잇다(EAT):페스타 ‘지역 맛집 경연대회’ 성료
- 3원주시, 소금산 미디어아트센터 개관
- 4수원특례시, 영화문화관광지구 추진경과 발표
- 5과천 첫 시립요양원 개원…지역사회 기대 속 "운영 안정화 과제"
- 6김석기 국회 외통위원장·주낙영 경주시장, APEC 막바지 현장 점검
- 7포항시, ‘제1회 소셜퐝퐝마켓’ 개최. . .사회적경제기업 한자리에
- 8포항시, 두 번째 반려동물 전용 테마공원 ‘포항펫필드’ 문 열어
- 9포항 만인당에 울려퍼진 열기, ‘제25회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성료
- 10포항시, 철강산업 위기 극복 총력…산업단지 지정 통한 기업 활력 제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