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고령화가 23년간 실질금리 3%P 떨어뜨려”

[서울경제TV=유민호기자]
[앵커]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빠른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 하락에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축은 늘고, 소비는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유민호기자입니다.
[기자]
인구 고령화가 지난 20여년 간 실질금리를 3%포인트 떨어뜨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고령화가 실질금리를 1995년에서 2018년까지 23년간 3%포인트 떨어뜨렸다고 분석했습니다.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올랐습니다.
실질금리란 통화안정증권 1년물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값으로,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는 금리 수준을 말합니다.
연구원은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저축이 늘고 소비는 감소한 결과”라며 “고령화가 한국의 실질금리 하락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질금리는 1995년 9.0%에서 2018년 0.4% 안팎으로 8.6%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실질금리 하락 폭의 3분의1이 고령화 여파로 추정되는 셈입니다.
연구원은 “기대수명 증가가 실질금리 하락에 미친 영향이 인구 증가율 감소로 인한 영향의 두 배”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향후 인구 고령화가 지속하면 실질금리가 지금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경제TV 유민호입니다. /you@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NK부산銀, 한국서비스품질지수 4년 연속 1위…순익 14.6% 사회공헌 투자
- 포인트모바일, 55억원 웨어러블 스캐너 ‘PM5’ 공급 계약
- 신한은행·한국전력공사, K-에너지 사업 강화 박차
- 한투증권, '제7회 리서치챌린지' 대상에 서울대 박승창
- 한화저축은행,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신임 대표이사에 최승영 전무 선임
- 광주銀, 모니터링 전담인력 운영 효과 봤다…보이스피싱 23억원 편취 막아
- 수출입銀, 대만 해상풍력 사업에 1억5000만 달러 금융 제공
- BNK부산은행, ‘베트남 고엽제 피해자’ 지원금 전달
- 이찬우 NH농협금융 회장 "ESG 정교하게 다듬어 미래 준비할 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목포시, 의료폐기물 소각장 건설 "절대 불가" 공식 선언…시민안전 최우선
- 2BNK부산銀, 한국서비스품질지수 4년 연속 1위…순익 14.6% 사회공헌 투자
- 3포인트모바일, 55억원 웨어러블 스캐너 ‘PM5’ 공급 계약
- 4소진공, 소상공인정책자금 누리집 개인정보보호 인증
- 5메인비즈협회, 한·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교류 방안 모색
- 6한림대의료원, 스마트도시협회와 업무협약 체결
- 7LG전자, 서비스품질지수 가전제품 A/S 분야 2년 연속 1위
- 8메가시티 진화하는 '남양주'...다산·왕숙·양정 주목
- 9삼성SDS, ‘RISE with SAP 프리미엄 서플라이어’ 선정
- 10고흥군의회, 청렴 DNA 심고 신뢰받는 의정 구현 박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