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공유경제, 3년새 10배 성장

공유숙박 에어비앤비 또는 카풀 등 온라인 기반의 개인간 공유경제 규모가 3년만에 10배로 성장했다. 특히 그중 숙박공유 서비스 비중이 가장 컸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개인 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는 1,978억원으로 2015년 204억원에서 열 배 가까이 늘었다고 6일 밝혔다.
2016년에는 581억원으로, 2017년에도 다시 갑절로 늘어 1,356억원이었다.
P2P 공유경제 중 에어비앤비 등 숙박공유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90%로 가장 컸다.
P2P 공유경제에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주택 단기임대 서비스, 유휴 차량을 이용한 개인 간 승차공유, 외국어 통·번역 재능공유 등이 속한다.
단, '타다' 등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모델은 이 지표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디지털 기반 공유경제는 이제 시작한 수준이라고 본다"며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앞으로 비중은 충분히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2014년 회계컨설팅회사인 PwC도 전 세계 공유경제 규모가 2013년 150억달러에서 2025년 3,350억달러로 불어난다고 전망하는 등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공유경제 규모는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한은은 국민 계정 통계의 기준년을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하면서 공유경제 생산 규모도 통계에 새로 반영했다.
한편, 개인 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가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0.001%에서 2016년 0.004%, 2017년 0.008%, 2018년 0.011%로 상승했다./고현정기자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원자력연구원, 제12회 한·일 공동 가속기 여름학교 개최
- 2포항강소특구, 대·중견기업과 개방형혁신 교류회 개최…스타트업 협력 확대
- 3포항시의회, 경북 남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개최
- 4영천시-한국수자원공사 포항권지사, 댐주변지역 발전 위해 ‘맞손’
- 5빌리엔젤, 그레닉스 군포공장 '10년 무사고' 달성
- 6SSG닷컴, 이마트 상품 1시간 배송 ‘바로퀵’ 출시
- 7"덕분에 감사합니다" 남원시, 시민 칭찬 친절공무원 직접 격려
- 8남원시-성일유엔아이, 지속가능 봉사문화 확산 맞손
- 9월 1만 원 임대료 '피움하우스'…남원시 청년 주거 새 모델 개소
- 10대한건축사협회, 내달 '인천아시아건축사대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