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車 부품업체 82% “전기차 업체로 전환 의향”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북의 자동차 부품업체 대부분이 전기차 업체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7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따르면 전북 지역 GM 협력업체 및 자동차 부품업체 403곳을 대상으로 전기차 부품기업으로의 전환 의향을 조사한 결과 82.6%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의향이 없다는 곳은 17.4%에 그쳤다.
이는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로 인한 공장 가동률 저하가 주요 배경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한국GM과 거래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공장 가동률을 조사한 결과 ‘50% 미만’과 ‘50% 이상 70% 미만’이 나란히 38.1%에 달했다. 가동률이 ‘70% 이상’인 곳은 23.8%에 불과했다.
전환 시 애로사항으로는 ‘추가 시설투자’가 40.8%, ‘수요기업 미확보’가 32.4%, ‘추가 기술개발’이 21.1% 등으로 많았다.
전환 의향이 없는 기업들은 ‘생산부품의 전기차 비관련성’(26.7%), ‘기술·자금 여력 부족’(20%), ‘내연기관 산업 지속 전망’(13.3%)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한편 응답기업들은 노·사·민·정이 협업하는 전북 지역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에 대해 89.5%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 추진 시 적합한 지역으로는 군산시라는 답이 55.8%로 가장 많았다. 바람직한 추진 시기로는 연내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46.8%로 가장 많았다.
추진 방식으로는 ‘중소·중견기업의 투자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투자촉진형’(57.1%)을 꼽은 경우가 ‘적정임금 수용 및 노사관계 안정 하에 대기업이 투자하는 임금협력형’(41.6%)보다 많았다. 상생형 지역일자리 참여기업에 가장 도움이 되는 정부지원으로는 ‘기업 투자비 일부에 대한 보조금 지급’의 선호도가 36.4%로 가장 높았다. ‘공장 부지 임대료 할인 및 장기임대 허용’은 19.5%, ‘참여기업에 펀드 및 전용자금 지원’이 15.6%, ‘공공구매 및 민간구매자 보조금 지급’은 14.4% 등이었다.
응답기업은 이를 통한 기대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33.8%), ‘일자리 창출’(20.8%), ‘공정생태계 조성’(19.5%), ‘임금격차 해소’(19.5%) 등을 꼽았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Qt 그룹, 인피니언과 차세대 MCU 통합 그래픽 솔루션 제공
- ‘세금 재테크 포럼’ 23일 개최…벤처투자 소득공제 전략 소개
- 대한항공, 美 록히드마틴과 군수지원 파트너십 체결
- 하이프리 연구전담부서, ‘2025 수출 붐업 코리아’ 참가
- 종근당, 신약개발 전문회사 '아첼라' 설립
- 새벽네시, 국내 최초·최대 마케팅 컨퍼런스 'IMPACT 2025' 개최
- SBA, 2025 새싹 해커톤 참가자 모집
- 중기중앙회, '2025년 하반기 온·오프라인 통합 품평회' 개최
- KAI-NLR,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개발 협력 MOU 체결
- 중기중앙회,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 초청 중소기업인 간담회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Qt 그룹, 인피니언과 차세대 MCU 통합 그래픽 솔루션 제공
- 2‘세금 재테크 포럼’ 23일 개최…벤처투자 소득공제 전략 소개
- 3인천시, 시민이 강사가 된다… ‘인천형 시민교수’ 본격 추진
- 4구리시, ‘2025 소상공인연합회 워크숍’서 상생 간담회 열어
- 5의정부도시교육재단, AI로 영어학습 혁신 나선다
- 69월 자동차보험 손해율 93.1…전년比 7.3%↑
- 7신한투자증권, ‘처음ISA’ 서비스 가입고객 5000명 돌파
- 8해남군, 농기계임대사업소에 '콩 선별 셀프 작업장' 운영…농가 호응 커
- 9서울경제TV 광주전남 주식회사, 스카이장례식장과 상호 협력 업무협약
- 10대한항공, 美 록히드마틴과 군수지원 파트너십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