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여신 60조 시대 돌아왔다…사태 후 8년만

증권·금융 입력 2019-06-14 08:10:15 수정 2019-06-14 08:10:15 이아라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국내 저축은행의 여신 규모가 저축은행 부실사태가 있었던 2011년 이후 8년 만에 60조원을 돌파했다. 저축은행들이 건전성을 높여 신뢰를 조금씩 회복했고, 당국 규제 강화로 대출금리도 낮추면서 소비자들이 저축은행에 다시 돌아왔다.
 

1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영업 저축은행의 여신 총잔액은 60조1,204억원이었다. 저축은행 여신 총잔액이 60조원을 넘긴 것은 2011년 5월(61조7,707억원) 이후 7년 11개월 만이다. 2000년 1월 말 18조14억원이던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2004년 12월에 30조원, 2008년 4월에 50조원을 넘기고 2009년 9월 처음 60조원을 돌파하기까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렸다. 이어 2010년 5월 65조7,541억원까지 쌓였다.
   
그러나 2011년 초부터 저축은행의 거대 부실이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가파른 하향 곡선을 그렸다. 일부 저축은행에서 수만 명의 피해자가 나오면서 업계 전체의 신뢰도 땅에 떨어졌다.
   
저축은행 여신은 2014년 6월 27조5,698억원까지 줄어들었다가 다시 빠른 속도로 회복하면서 부실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저축은행 수신 잔액도 올해 60조원을 다시 돌파했다. 저축은행 수신은 올해 1월 말에 60조8,770억원을 기록했다. 63조107억원이었던 2011년 12월 이후 7년 1개월 만에 다시 60조원을 넘겼다. 올해 4월 말 수신액은 59조6,764억원이다. 고액 예금이 늘어나면서 저축은행이 파산했을 때 예금자보호법으로 보호받을 수 없는 5,000만원 순초과예금 규모도 작년 말에 7조원이 됐다.
   
저축은행 여·수신이 회복한 데는 저축은행의 자기자본비율 등 건전성 지표가 크게 개선된 영향이 있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작년 말 기준 14.36%로 규제 비율인 7∼8%보다 훨씬 높다. 작년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 79곳 중 2곳만 제외하고 모두 10%를 넘는 BIS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2013년 말까지도 BIS 자기자본비율이 10%가 안 되는 곳이 24곳이나 됐고 이 중 3곳은 마이너스였다.
 

수신 고객이 늘어난 데는 높은 예금금리도 한 몫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저축은행의 작년 말 기준 1년 만기 신규정기예금 금리는 연 2.69%로 은행(2.13%), 상호금융(2.22%), 새마을금고(2.50%)보다 높았다. 여기에 확정기여(DC)형 퇴직연금과 개인형 퇴직연금(IRP) 운용 대상에 저축은행 예·적금도 포함할 수 있도록 감독규정이 개정되면서 자금이 더욱 몰렸다.
   
그러나 최근 경기 침체로 저축은행 대출 연체율이 일부 올라가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감원은 최근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영업실적을 분석하면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채권이 다소 증가하고 있어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에 대한 선제적·적극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