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60조 시대 열었다...부실사태 후 8년만에

[앵커]
저축은행 여·수신 규모가 각각 60조를 돌파했습니다. 2011년 부실 사태 후 8년 만이라고 하는데요. 사태 이전과 이후, 저축은행 내·외부에서 변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보도에 이아라기자입니다.
[기자]
저축은행이 부활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사태 이전인 2000년 18조였던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2009년 처음 60조원을 돌파하기까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렸습니다.
2010년 5월엔 65조 7,541억원까지 여신 규모를 늘렸습니다.
그러나 2011년 초부터 저축은행 거대 부실이 속속 드러나면서, 그래프는 빠르게 곤두박질쳤습니다.
사태 여파로 2014년엔 27조 5,698억원까지 여신 규모가 쪼그라들었습니다.
수만 명의 피해자가 나오면서 업계 전체의 신뢰도도 바닥에 떨어졌습니다.
그랬던 저축은행이 사태 이전 수준의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4월 말 기준, 저축은행의 여신 총잔액은 60조 1,20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수신 규모도 올해 60조원을 다시 돌파했습니다.
사태 여파가 미치기 전인 2011년, 63조 107억원으로 최고점을 찍은 지 7년 만에 다시 60조원을 넘겼습니다.
[인터뷰] 금융감독원 관계자
"자산 구성이 예전보다는 위험요소가 줄었고. 충당금도 18년부터 계속 단계적으로 쌓았고. 여러 가지 건전성 쪽에 예전에 비해서는 많이 나아졌죠."
전문가들은 저축은행 여·수신 잔액이 회복된 것을 놓고, “저축은행의 자기자본비율 등 건전성 지표가 크게 개선된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현재 저축은행의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작년 말 기준 14.36%로 규제 비율인 7∼8%보다 훨씬 높습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거액 여신 비율이 줄었고, 사업 포트폴리오가 많이 달라졌다”며 “특히 PF대출은 5.2조 규모고, 전체 여신 비중 중 10%도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저축은행 규모 양극화가 심해진 만큼,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규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조성목/ 서민금융원장 (前 금감원 저축은행검사국장)
“8조원대 저축은행이 있는가 하면 1,000억도 안 되는 저축은행이 있는데, 은행권하고 비슷한 대규모 저축은행은 은행 수준의 규제를 해줘야 되고”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농협은행, 인수금융 본격화…비이자수익 확대 노선
- "원스트라이크 아웃" 주가조작 합동대응단 출범
- 상호금융권, PF 부실에 비과세 축소까지 '이중고'
- 화재보험협회, '2024년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 발간
- 우리銀, 지급보증부 커버드본드 2100억 발행
- SBI저축은행, '사이다뱅크 커피적금' 내달 1일 2차 판매 시작
- 현대카드, 종합자산관리 서비스 '내 자산' 개편
- 신한카드, '갤럭시Z 폴드7·플립7' 구매 고객 대상 이벤트 진행
- NH농협카드, 경기도 가평군서 '수해복구 봉사활동' 실시
- NH농협생명, 충남 청양군 찾아 수해복구 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립청소년합창단·중국남경전매대학합창단 '한중 문화교류 연주회' 개최
- 2남원일반산단, '기회발전특구' 지정…라이프케어 산업 기업유치 탄력
- 3남원시보건소, 소아 야간 진료 예산확보 위해 보건복지부 방문
- 4김한종 장성군수, 국회서 현안사업 국비 확보 총력…문금주·서삼석 의원 만나 협력 요청
- 5평택시, 2025 한국의 소비자대상' 탄소중립 스마트시티 부문 대상
- 6인천시의회 정해권 의장, 중복 맞아 삼계탕 나눔 행사 참여
- 7인천관광공사, 펜타포트 락페 열어
- 8유정복 인천시장, 강화 수산물 안전 점검
- 9의왕시, '안심 보육 환경 조성 사업 실시'
- 10과천시, "과학기술로 대비하는 기후적응 세미나 참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