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펀드시장 안전자산 선호 뚜렷…채권·부동산 인기

올해 상반기에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채권펀드와 부동산펀드로 자금 유입이 두드러졌다.
3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설정액 10억원 이상 펀드의 현황을 집계한 결과 지난 27일 기준 국내 채권형 펀드 258개의 설정액은 총 31조2,993억원으로 연초 이후 8조2,162억원이 증가했다. 해외 채권형 펀드 162개의 설정액은 총 5조8,242억원으로 같은 기간 1조8,093억원 늘었다.
국내 채권형 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평균 1.59%로 집계됐다. 해외 채권형 펀드는 신흥국 채권(8.94%), 아시아퍼시픽 채권(8.34%) 펀드 등의 수익률에 힘입어 평균 6.49%의 수익을 냈다.
채권형 펀드는 상대적으로 시장 변동성이 작고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편이어서 안전자산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상반기에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채권형 펀드 수요를 자극했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비례 관계여서 금리가 내리면 채권값이 올라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의 수익률이 높아진다.
국내와 해외 부동산펀드에도 각각 연초 이후 2,586억원, 5,948억원이 순유입됐다. 연초 이후 국내 부동산펀드의 수익률은 2.52%였고 해외 부동산펀드는 4.69%다.
지난 27일 기준 국내 주식형 펀드 903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평균 3.46%로 집계됐다. 국내 주식형 펀드는 작년 한 해는 증시 폭락 여파로 수익률이 -18.58%였으나 올해는 연초에 증시가 반등하면서 손실권을 벗어났다. 이 기간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4.57%, 3.34% 상승했다.
펀드 유형별로 보면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골라 투자하는 액티브 주식펀드(3.48%)와 지수에 연동하는 인덱스 주식펀드(3.42%)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는 차익 실현 환매가 이어지면서 올해 들어 총 1조6,943억원이 이탈했다. 국내 액티브 주식펀드(-1조2,875억원)와 국내 인덱스 주식펀드(-4,068억원) 모두 순유출을 기록했다.
해외 주식형 펀드 760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평균 16.66%로 국내 주식형 펀드보다 높았다. 투자 대상 국가·지역별로 보면 러시아(25.62%)와 중국(22.07%) 펀드가 20%대였고 신흥유럽(19.23%), 북미(18.86%), 일본 제외 아시아퍼시픽(17.72%), 친디아(16.48%), 글로벌(16.45%) 등도 고수익을 냈다.
해외 주식형 펀드도 차익 실현 환매로 올해 들어 자금은 1조5,848억원이 빠져나갔다. 글로벌(-4,949억원), 중국(-4,108억원), 북미(-1,883억원), 유럽(1,652억원), 러시아(-1,034억원) 펀드의 순유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컸다. 해외 주식형 펀드 중 베트남 펀드만 1,112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CET1 방어 나선 금융지주…기업대출 조이기로 방향 틀어
- ‘美 관세충격’ 코스피 2500 붕괴…낙폭 일부 만회
- 핵심 인재 떠나고 빼앗기고...토스證 김규빈 리더십 시험대
- 롯데카드, 실적 부진·MBK 리스크…새 주인 찾기 ‘난망’
- 또 구설 오른 키움證, 이번엔 주문 '먹통'…점유율 1위 흔들리나
- KB국민銀, 미얀마 지진 피해 구호 성금 1억4000만원 지원
- 하나금융, 중기·소상공인 대상 총 6.3조원 긴급 금융지원
- 산업은행, 원전산업성장펀드 1000억원 조성 개시
- 대신證 "폴더블폰 성장 명확, 힌지 부품업체 KH바텍 주목"
- 코스피, 트럼프 관세 충격에…2500선 붕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협의회, 상위인증 완주군 방문…2025 정책 협력 논의
- 2무주군, 세계태권도 옥타곤다이아몬드·그랑프리 챌린지 유치
- 3진안군, 파크골프 전문기업과 손잡고 전국대회 추진
- 4전주시, 벚꽃길 특별노선 운영…전기 마을버스 하루 10회 운행
- 5전북자치도, 美 관세정책 대응 나서…도내 수출기업 보호 총력
- 6전북자치도, 중견기업-지역혁신 얼라이언스 공모 선정…국비 42억 확보
- 7전북도소방본부, 화재조사 매뉴얼 제작 착수…TF팀 운영
- 8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 9‘추가비용 나몰라라’…SI업계, 공공기관 소송 증가
- 10“밑 빠진 독에 물 붓기”…SK이노, 또 중복상장 논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