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5G 단독 규격 이용 통신 첫 성공…내년 상용화 예정

SK텔레콤은 국내 최초로 5G 단독 규격인 '5G SA' 패킷 교환기와 코어 장비를 연동해 데이터 통신하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패킷 교환기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이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관문으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비유된다. 5G 상용화 초기인 현재는 표준화 개발 소요 시간, 비용, 자원이 많이 필요한 5G SA 대신 LTE와 장비를 일부 공유하는 'NSA'(복합 규격)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번에 선보인 5G SA는 5G NSA 대비 데이터 처리 효율성이 3배 높다고 SK텔레콤이 설명했다.
삼성전자와 함께 진행한 '5G SA' 연동은 고객 대상 서비스와 동일한 환경에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는지 확인하는 절차로,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전 과정을 문제없이 통과해야 성공한 것으로 인정된다.
이번 5G SA에는 네트워크를 물리·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해 고객 상황에 맞춰 트래픽 품질을 보장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블록을 쌓듯 기능을 조합해 고객에게 새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하는 '기능 모듈화', 패킷 품질 제어·전달 단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데이터 병렬 처리 기술', 성격이 비슷한 데이터를 분류·분배해 전송하는 '데이터 가속 기술', '경로 최적화 기술' 등이 적용됐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센터장은 "NSA 구축 초기부터 고객에게 차별화된 통신 품질과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SA 업그레이드 기술 개발해 왔다"며 "내년 상반기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전재호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개발팀 부사장은 "5G SA는 기존 NSA가 제공하지 못 하는 다양하고 혁신적인 5G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보경기자 lbk50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에스비코퍼레이션, ‘2025 아웃소싱 100대 기업’ 선정
- 월드쉐어, '지진 피해' 미얀마에 1만 명분 구호 물품 전달
- 중기중앙회, 美 ‘한국식품타운’ 조성 논의
- 카카오헬스케어, ‘생활습관 루틴 공식’ 팝업 스토어 오픈
- “세계 최초”…스타벅스, 상반기 중 키오스크 도입 검토
- 카카오, 파리 OECD 회의에 ‘프로젝트 단골’ 성과 발표
- 건설사, 1분기 분양 계획 34% 그쳐…"대선 전까지 개점 휴업"
- 스텔란티스코리아, 지프 픽업 '뉴 글래디에이터' 국내 출시
- 구일개발 "광주 선운진아리채 지역주택조합 입주 시작"
- 중기중앙회, 제4차 中企공공조달 정책연구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