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11월 주담대 증가세 '주춤'…연말 앞두고 대출규제 대비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주요 은행들이 연말을 앞두고 주택담보대출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를 의식했다는 분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11월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36조714억원으로 전달보다 2조7,826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증가폭(3조835억원)에 비하면 증가세가 둔화했다. 연말을 맞아 금융당국이 설정한 올해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인 '5%대'를 맞추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주담대는 가계대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부분이다. 농협은행은 올 10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율이 주요 은행 중 가장 높은 9.5%를 기록했다. 이에 농협은행은 10월에 주담대를 1,637억원 줄인 데 이어 11월에도 3,566억원 추가로 감축했다. 이를 위해 농협은행은 지난 9월 26일에 고정·변동형 주담대의 우대금리 한도를 0.3%p 축소했고 지난달 1일엔 고정형 주담대의 가산금리를 0.18%p 인상한 바 있다.
또 1~10월 가계대출 증가율이 당국의 목표치(5%대)를 넘어선 신한은행(6.9%), 우리은행(6.5%), 하나은행(6.1%) 등의 11월 주담대 증가폭 역시 10월보다 작거나 다소 많았다. 이중 우리은행은 11월 주담대가 1,145억원 감소했다. 보금자리론과 적격대출 9,000억원가량을 주택금융공사로 넘겨 그만큼이 잔액에서 차감된 영향도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반면 10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율이 2.1%로 낮았던 국민은행은 11월에 주담대를 1조4,430억원 늘렸다. 10월 증가액(7,260억원)의 두 배다. 국민은행은 대출금리를 크게 조정하지 않아 다른 은행에 비해 금리가 낮은 데다 대출받을 수 있는 한도가 큰 모기지신용보증(MCG)·모기지신용보험(MCI) 연계 대출상품을 팔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한편, 신한·우리·하나은행은 MCG·MCI 연계 대출상품의 판매를 중단한 상태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 BNK금융 고군분투…지역 살리고 건전성 지킨다
- 수협은행, 비은행 첫 인수…금융지주 전환 속도
- 뉴로랩-광주시, AI·협동로봇 기반 '랩오토메이션' 시장 진출 가속화
- 한패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IPO 시동 본격화
- 뱅크샐러드, 고객 대상 금융 피해 보상 위한 '해킹 피해 보증서' 제공
- 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산은 새 리더십에…KDB생명 정상화 속도 낼까
- 하나금융 "주주환원율 높여라"…하반기 경영환경 변수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상지질혈증 패싱'은 언제까지…고혈압·당뇨처럼 제도적 지원을
- 2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 3남원시의회 경제농정위, 민생 현안 점검…"시민 체감 성과 중요"
- 4600년 전 옛 한글서체 입은 ‘고래밥·초코송이’ 등장
- 5“韓 문화, 세계 건축에 영감”…아시아건축사대회 개최
- 6사행성 논란 ‘컴플리트 가챠’ 사라지나…게임업계 긴장
- 7BNK금융 고군분투…지역 살리고 건전성 지킨다
- 8수협은행, 비은행 첫 인수…금융지주 전환 속도
- 9케데헌의 힘? 펄펄 끓는 라면株
- 10콜마家 경영권 분쟁 첫 표 대결…26일 주총 ‘분수령’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