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입주물량 12년만에 최대…들썩이는 전세값 진정되나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올해 서울지역 아파트 입주물량이 12년새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들썩이는 전세시장이 안정을 되찾을지 주목된다.
28일 직방 조사에 따르면 2020년 서울에 총 4만1,104세대가 입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만3,929세대가 입주한 2008년 이후 가장 많은 물량이다.
총 46개 단지가 입주하며 전년(63개 단지)대비 단지 수는 적지만 단지 평균 규모는 894세대로 최근 5년 평균치(546세대)를 크게 넘어선다. 강동, 양천, 은평 등 총세대수 2,000세대 이상의 메머드급 단지가 입주를 앞두며 2020년 서울 물량이 증가했다.
부동산 업계에선 올해 입주물량이 크게 늘어나는 만큼 전세시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최근 서울 전세시장은 대입 정시 확대, 9억원이상 주택 보유 시 전세대출 회수 등의 이슈로 전세값이 들썩이고 있는 모습이다.
직방 관계자는 “올해 서울 입주물량이 비교적 많다는 것은 지금 나타나는 전세시장의 불확실성을 그나마 달랠 수 있는 희소식이다”면서 “특히 올해 대규모 단지 위주로 새 아파트가 공급된다는 점에서 전세시장 열기가 한 템포 쉬어 갈 수 있을 지 지켜봐야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입주물량 증가에 일부에선 집값 안정을 두고선 여전히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서울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다”면서 “집값이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다”라고 주장했다. 반면 또 다른 전문가는 “올해 입주물량이 2008년 이후 최대 규모인 만큼 수급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서울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수도권 3기 신도시를 지정하고 30만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일부에선 “서울 수요가 수도권으로 분산될 가능성이 크지 않아 3기 신도시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G, 3분기 영업익 4653억…전년比 11.4%↑
- CJ CGV, 3분기 영업익 233억…전년比 27.2%↓
- 아모레퍼시픽 그룹, 3분기 영업익 1043억…전년比 41%↑
- BGF리테일, 3분기 영업익 977억…전년比 7.1%↑
- 한국앤컴퍼니그룹, 글로벌 車부품 전시회 공동 참가
- CJ프레시웨이, 3분기 영업익 336억…전년比 19%↑
- 건설업계, CEO 인사 칼바람?…“교체보다 안정”
- 하이트진로, 성장 제동…국내도 해외도 ‘막막’
- 게임업계, 연쇄 구조조정…“대작 개발 방식 재검토”
- 현대차 무뇨스 “올해 위기 대응력 증명”…‘수익성 강화’ 주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장군, 고리원전 사고 대비 방사능방재 집중훈련 실시
- 2인천국제디자인페어, AI와 ‘사람 중심 디자인’ 조명
- 3‘게임체인저’ 선언 이후…경기북부 규제완화 속도전
- 4영남이공대, 지역연계 신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과평가회 개최
- 5영덕군,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 선정
- 6영덕군, 2025·26 산불 감시원 발대식 개최
- 7영덕군, 영덕도예문화체험장 본격 개장
- 8계명문화대, 우즈베키스탄 KOICA 직업훈련원과 직업교육 협력 강화
- 9영남대, ‘국내 TOP5’ 연구력 입증…라이덴랭킹 2년 연속 쾌거
- 10iM뱅크(아이엠뱅크), 2025 을지연습 평가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