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증시서 외국인 일제히 '팔자'…한국·대만 충격 컸다

이달 들어 주요 신흥국 증시에서 외국인의 순매도 규모가 일제히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과 대만에서 외국인 순매도 규모와 그 타격이 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이달 들어 13일까지 2주간 한국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총 58억1천400만달러(약 7조원) 순매도했다. 이는 대만(-67억2천200만달러) 다음으로 순매도 규모가 큰 것이다. 또 인도(-38억2천만달러), 브라질(-31억7천500만달러), 태국(-12억9천500만달러), 인도네시아(-2억1천300만달러), 베트남(-1억2천700만달러), 필리핀(-1억2천300만달러), 파키스탄(-4천만달러), 스리랑카(-600만달러) 등 주요 신흥국에서 외국인은 일제히 '팔자'에 나섰다.
이달 한국의 순매도 규모는 지난달 전체(30억달러)를 훨씬 웃도는 것이다. 대만도 순매도 규모가 지난달 35조8천600만달러에서 이달 들어 13일까지 벌써 67억달러를 넘었다. 외국인들은 지난달 유일하게 4억1천300만달러를 순매수했던 인도에서도 이달에는 순매도로 돌아섰다.
주요 신흥국에서 외국인이 순매도 규모를 키우는 것은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신흥국의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고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특히 전 세계 각국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빗장을 걸어 잠그는 상황이어서 수출 의존도가 큰 한국과 대만은 더욱 큰 충격을 받고 있다. 올해 들어 전날까지 코스피는 28.6% 내렸고 코스닥지수도 27.6% 하락했다. 같은 기간 대만 자취안지수도 23.2% 내렸다.
당분간 신흥국 증시에서 외국인의 '팔자'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에서 각종 증시 부양책이 나오고 있지만 불확실성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신흥국 증시는 미국, 유럽, 중동 등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둔화하고 치료제 소식이 가시화하기까지는 높은 변동성과 추가 하락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창민·서영재 KB증권 연구원은 전날 신흥국 해외주식 보고서에서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지수를 포함한 13개 신흥국 증시의 코로나19 발생 이전 고점 대비 평균 하락률은 28%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기록한 -55%의 절반 수준"이라며 "2015년 이후 의미 있는 지지선 적용 시 추가 조정 폭은 7~10% 정도"라고 설명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웰푸드, '설레임' 7월 매출 전년 대비 60%↑
- 2농심 메론킥, 북미 등 글로벌 시장 공략
- 3부산도시공사 "이상기후로부터 근로자 안전 강화한다"
- 4‘건강 100세 위한 스포츠 정책 토론회’, 13일 국회서 개최
- 5이니텍, 분주한 손바뀜…어른거리는 '엔켐·광무' 그림자
- 6‘마흔이 되기 전에 명상을 만나라’ 출간
- 7제주 아테라, 188세대 프리미엄 주거단지 조성
- 8엔씨소프트 저니 오브 모나크, 신규 서버 업데이트
- 9벤하트, 제이알아이엔씨 맞손…파크골프로 글로벌 시장 공략
- 10LS그룹, 지속가능경영 방점…"스마트 기술로 안전∙환경 선도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