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코로나에도 1분기 실적 양호…영업익 1조904억
[서울경제TV=정훈규기자] LG전자는 연결기준 1분기 매출액 14조7,278억원, 영업이익 1조90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21.1% 증가해, 코로나19 사태에도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1분기 영업이익률은 7.4%로 역대 1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다. 1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은 것은 2018년 1분기(1조1,078억원)에 이어 두 번째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생활가전(H&A) 사업본부는 1분기에 매출 5조4,180억원, 영업이익 7,535억원을 기록했다. 생활가전 매출액은 국내 시장에서 건조기와 스타일러 등 ‘스팀가전’의 판매 호조에도 코로나19 영향으로 해외 매출이 줄면서 작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다. 다만, 고가 제품의 판매 확대와 원가 절감 등에 따라 영업이익은 3.6% 증가해 사상 최대 규모였고, 영업이익률(13.9%) 역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TV가 주축인 홈엔터테인먼트(HE) 사업본부의 매출액은 2조9,707억원, 영업이익은 3,258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북미와 유럽에서 주요 매장의 영업 중단 등에 따라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4.8% 줄었지만, 올레드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덕분에 영업이익은 31.7% 증가했다. HE 사업부의 영업이익률은 11.0%로 2018년 1분기에 이어 두 번째로 1분기에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비즈니스솔루션(BS) 사업본부는 매출 1조7,091억원, 영업이익 2,122억 원을 거뒀다. 매출은 노트북 등 정보기술(IT) 제품과 태양광 모듈의 판매가 늘면서 3.5% 증가했고,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의 안정적 수익성에 힘입어 영업이익도 26.3% 증가했다.
이밖에 스마트폰 부문은 매출액 9,986억원에 영업손실 2,378억원을, 자동차부품 부문은 매출 1조3,193억원, 영업손실 968억원을 기록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다.
LG전자는 2분기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매출과 수익성이 전분기와 작년 동기 대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전자는 2분기에 ‘매스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LG 벨벳’을 출시하고 5G 시장 확대에 발맞춰 보급형 라인업도 강화하기로 했다. 온라인 판매를 강화해 매출 기회를 확대하고 플랫폼화 및 모듈화 전략에 기반한 원가 효율화를 지속 추진한다. B2B 사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재택근무, 원격교육 등이 확대되면서 노트북과 모니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등의 사업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고용부, 1.5조원 추경…실업급여 18만7000명 더 받는다
- 4일부터 고효율 가전 구매시 10% 환급
- 주유소 기름 가격 3주 연속 상승…"다음 주부터 하락세 전망"
- [부동산 캘린더] 내주 6768가구 분양…"수도권·지방 동시 출격"
- 창립 55주년 삼성SDI···최주선 “등골 서늘한 경영환경”
- “여행 중 무심코”…개인정보 유출 주의해야
- 통신3사, 자체 AI 모델 오픈소스 공개…기술 경쟁 본격화
- 성과급 '희비'…SK하이닉스 '활짝' 삼성 반도체 '우울'
- 주진우, '외국인 부동산투기차단법' 대표발의
- [위클리 비즈] ‘오징어 게임3’ 돌풍…GS25·신세계, 협업 마케팅 열기 ‘후끈’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생사진 찍으러 오세요”. . .영천시 화산면, 해바라기밭 포토존 설치
- 2고용부, 1.5조원 추경…실업급여 18만7000명 더 받는다
- 34일부터 고효율 가전 구매시 10% 환급
- 4주유소 기름 가격 3주 연속 상승…"다음 주부터 하락세 전망"
- 5코인 테마에 편승한 코스닥社…주가 변동 '요주의’
- 6내주 6768가구 분양…"수도권·지방 동시 출격"
- 7끝이 안 보이는 부동산 PF 구조조정…지방 사업장 최대 변수 되나
- 8“여행 중 무심코”…개인정보 유출 주의해야
- 9창립 55주년 삼성SDI···최주선 “등골 서늘한 경영환경”
- 10통신3사, 자체 AI 모델 오픈소스 공개…기술 경쟁 본격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