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재개 VS 금지 유지?…13일 토론회 열린다
[앵커]
정부의 공매도 금지 조치가 이제 한 달 후면 풀리게 됩니다. 이를 두고 금지 조치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과 금지 조치를 해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뉘고 있는데요. 한국거래소가 토론회를 열고 양측 의견 수렴에 나섭니다. 이소연 기자입니다.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싱크]은성수 / 금융위원장 (지난 3월 13일 브리핑)
“다음 주 월요일(3월 16일)부터 6개월간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코넥스시장 전체 상장 종목에 대해 공매도를 금지합니다.”
지난 3월, 정부는 증시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공매도 금지’ 조치를 단행했습니다.
공매도 금지 발표 당시 정부는 “6개월 후 시장 상황을 보고 연장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정부가 약속한 6개월이 종료되는 시점은 오는 9월 15일.
공매도 금지 규제 해제를 한 달여 앞두고 시장에서는 공매도 금지 연장과 해제를 두고 찬반 의견이 나뉘고 있습니다.
금지 연장을 주장하는 측은 공매도가 허용될 경우 시장이 재차 급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합니다.
반대로 연장이 필요 없다는 측은 공매도가 현재 시장에 주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며, 공매도 금지를 유지하는 것은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투자 유인을 떨어뜨린다고 주장합니다.
엇갈리는 의견에 당국은 ‘공매도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의뢰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오는 13일에는 찬성 측과 반대 측을 모아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다만, 오는 13일 토론회가 당국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전망입니다.
규제 연장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인 금융당국 관계자가 토론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초 공매도 영향에 대한 연구용역 발표가 이 자리에서 이뤄질 예정이었지만, 연구용역 결과 발표가 미뤄지며 연구용역을 맡은 이관휘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와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의 참석도 무산됐습니다.
주식시장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공매도 금지 조치를 두고 토론회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갈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서울경제TV 이소연입니다. /wown93@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4대 금융지주, '주주환원율 50% 시대' 문턱에…실적은 정점, 지속성은 과제
- 미국, 2일 서머타임 해제…한국과 시차 1시간 더 벌어진다
- 비트코인 '업토버' 끝났다…7년만에 첫 '10월 월간 하락'
- 외국인 환전업자 10명 중 9명 중국인…위안화 환전은 2%
- 사망보험금, 생전 연금처럼 받는다…유동화 본격 시행
- 대출 규제에 카드론 재미 시들…카드업계 '불황 터널'
- '5조 클럽·최대 이익'… KB·우리금융 함박웃음
- NH농협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조2599억원…증권↑은행·보험↓
- KBI그룹, 라온 이어 상상인저축은행 품는다…1107억원에 지분 90% 인수
- KB국민은행, 한국-인도네시아간 QR결제서비스 최초 시연 성공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제 금값, 온스당 3997달러…미중 불확실성에 조정 국면 지속
- 2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율 92%…행정시스템 대부분 정상화
- 3韓中, 통화스와프·FTA·범죄 공조 등 협력 합의…‘실질 협력’ 강화
- 4서울시, 한강버스 시민 탑승 운항 재개…첫날 3000여명 이용
- 5필리핀 대통령, 한화오션과 잠수함 협력 논의
- 6늦가을 미술관 울려 퍼진 ‘명화와 클래식 선율’
- 7미스코리아 '美'에 해남 '味'를 더하다…해남미남축제, '515 김치 비빔'으로 축제 분위기 '후끈'
- 8김한종 장성군수 "장성군이 명실상부한 역사·문화·교육 메카로 우뚝"
- 9공영민 고흥군수 "군민 참여와 화합이 고흥발전 원동력"
- 10해수부, “후쿠시마 오염수 투명 공개·국제 감시 필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