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 행정 소송' 선고 일주일 뒤로

[앵커]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 이른바 ‘DLF 사태’ 1심 판결이 일주일 미뤄졌습니다. 최고경영자의 중징계 소송 첫 선고이기 때문에 금융권이 촉각을 세우고 있는데요. 이번 판결이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해 금융사 수장들의 내부통제 책임을 묻는 기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윤다혜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당국이 DLF 손실 사태의 책임을 물어 손태승 회장에게 내린 징계 취소 여부에 대한 법원 선고가 연기됐습니다.
서울행정법원은 오늘 오후로 예정됐던 손 회장의 징계취소소송 1심 선고기일을 일주일 뒤인 27일로 연기했습니다.
법원 측은 재판부가 판결과 관련된 논리를 다듬기 위해 선고 기일을 미룬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이 DLF를 불완전판매 했고, 그 배경에는 경영진의 부실한 내부통제가 있었다면서 손 회장에 대해 문책 경고 처분을 내렸습니다.
문책 경고 이상 중징계를 받으면 연임과 금융권 취업이 제한됩니다.
이에 손 회장은 징계 취소 소송을 제기하는 동시에, 법원의 집행정지 결정을 받아내 1심 판결이 선고될 때까지 금감원 징계의 효력이 정지된 상태입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 지배구조법과 시행령 등을 근거로 내부통제를 부실하게 한 경영진의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반면 손 회장은 금융사 지배구조법을 금융사고에 따른 경영진 제재 근거로 삼을 수 없는 데다가 CEO가 DLF 상품 판매 관련 의사결정에 개입하지 않았던 만큼 징계가 부당하다는 입장입니다. 서울경제TV 윤다혜입니다. /yunda@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카카오뱅크·키움증권 MOU 체결..."투자 서비스 강결합 목표"
- 코스피, 2470대 약세 출발…코스닥도 하락
- CJ대한통운, 택배 물동량 증가로 2분기부터 실적 개선 가능-DS
- CJ제일제당, 美수출분 현지 생산·조달…관세 영향 제한적-신한
- 한국항공우주, 국내 항공 산업 성장 견인…목표가 38%↑-LS
- JB금융그룹 김기홍 회장 자사주 1만 2127주 추가 매입
- 삼성E&A, 1분기 신규 수주 3조원…호실적 전망-KB
- 리스크 관리·내부통제 강화 전략에도 잇단 '금융사고'
- 퇴직연금도 AI에게…로보어드바이저 경쟁 격화
- 신협, 적자전환에 부실채권 눈덩이…출구 없는 PF 리스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GS25, 'FC서울 특화 매장' 오픈…"스포츠 팬덤 성지로 거듭"
- 2유한양행, 제58회 유한의학상 시상식 개최
- 3프랑스 아로마테라피 브랜드 '프라나롬’, 올리브영 입점
- 4한국타이어, ‘아이온 에보 포뮬러 E 에디션’ 한정판 출시
- 5카카오뱅크·키움증권 MOU 체결..."투자 서비스 강결합 목표"
- 6기아, '뉴스위크' 선정 지속가능경영 부문 수상
- 7SK플라즈마, 혈우인의 날 맞아 헌혈·레드타이 챌린지
- 8롯데리아, 경상도 로컬 '진해 쥐포튀김’ 출시
- 9한화큐셀, 제22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참가
- 10코스피, 2470대 약세 출발…코스닥도 하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