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출수요 쏠릴라”…금리·한도 만지작

[앵커]
일부 은행들의 대출 중단이 금융권 전반으로 퍼질까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금융당국이 어제 진화에 나섰는데요. 이렇게 되면서 은행권에서는 대놓고 대출 중단도 어려워져 대출 한도 축소나 금리 조정 등의 추가 계획도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윤다혜 기자입니다.
[기자]
은행들은 일부 은행의 대출 중단에 따른 풍선효과로 대출 고객 유입이 늘어나는 건 아닌지 우려하고 있습니다.
대출 수요가 쏠리면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율이 상반기보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달까지 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7%대, 하나은행은 4%대, 국민·신한·우리은행은 2%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작년 말 시중은행들에 올 가계대출 연간 증가율이 5∼6%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라고 주문했습니다.
이때문에 이 기준을 넘어버린 농협은행은 대출문을 아예 걸어 잠궈버렸습니다.
다른 은행들도 올해 남은 4개월 동안 당국의 기준을 맞추려면, 대출 증가 추세를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농협은행에 이은 연쇄적인 대출 중단 사태가 우려되는 이유입니다.
대출 불안 심리가 점점 확산하자 금융당국은 어제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자체 취급 목표치까지 여유가 있다”며 “농협 같은 조처가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습니다.
농협을 제외한 은행들 입장에서는 가계대출 증가율을 제한받으면서, ‘대출문은 함부로 걸어잠그지 말라’는 시그널을 받은 셈이라, 올해 남은 기간 관리 부담이 더 커졌습니다.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줄어들어 대출 수요가 쏠릴 수 있는데, 농협처럼 취급 중단을 하기도 곤란해진 겁니다.
대신 한도를 축소하거나 금리를 올려 상품의 매력도를 낮출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은행의 마진 등이 포함된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줄이는 식입니다.
또 모기지신용보험(MCI)과 모기지신용보증(MCG) 대출 판매 중단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은 주택담보대출과 동시에 가입하는 보험으로, 취급을 중단하면 대출상품의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실제로 농협과 신한은 이미 이 상품 취급을 중단했습니다.
은행들은 대출 상황을 지켜보겠지만 기존보다 대출 가능한 은행들이 적어 대출 증가를 막기 위한 추가 계획이 나올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윤다혜입니다. /yunda@sedaily.com
[영상편집 김현지]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이억원 · 금감원 이찬진...'원팀' 생산적 금융 대전환 이루나
- 민병덕 "MBK 홈플러스 인수에 6000억 이상 공적자금 투입…엄중 수사 필요"
- 은행권 경계 허무는 '임베디드 금융' 뜬다
- “유커 돌아온다”…호텔·카지노株 최대 수혜?
- 한화생명, 이익 급감…해외 확장 전략 부담
- 나라셀라, 2분기 매출액 185억…전년比 4.8%↑
- 센코, 상반기 매출 159억 원…대외 변수 속 안정적 성장
- 그린플러스, 국내 스마트팜 수주 호조…상반기 매출 23.5% 성장
- KS인더스트리 “9월 임시주총 소집…이사 선임 안건 등 추진”
- 알엔투테크놀로지, 2분기 매출 44억…전년比 72.9%↑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구시, 제80주년 광복절 맞아 뜻깊은 경축행사 개최
- 2한경협국제경영원, '2025 AI 비즈니스 과정' 개강…기술 넘어 전략으로
- 3LG 시스템에어컨, 플라스틱 사용 줄여 탄소 배출 줄인다
- 4일요일 '낮 최고 35도'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
- 5'월세' 거래, 첫 100만건 돌파…'전세의 월세화' 가속
- 6LG유플러스, 방송중계·IPTV,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 7삼성전자, '아시아 공조 콘퍼런스'서 글로벌 HVAC 공략
- 8SK, 이천포럼 내일 개막…'본원적 경쟁력 강화' 모색
- 9"쉽게 AI 접하고 배운다"…SKT, ‘AI 놀이터’ 마련
- 10에쓰오일, 인천저유소 공정안전관리 최고등급 'P등급' 획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