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출수요 쏠릴라”…금리·한도 만지작

[앵커]
일부 은행들의 대출 중단이 금융권 전반으로 퍼질까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금융당국이 어제 진화에 나섰는데요. 이렇게 되면서 은행권에서는 대놓고 대출 중단도 어려워져 대출 한도 축소나 금리 조정 등의 추가 계획도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윤다혜 기자입니다.
[기자]
은행들은 일부 은행의 대출 중단에 따른 풍선효과로 대출 고객 유입이 늘어나는 건 아닌지 우려하고 있습니다.
대출 수요가 쏠리면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율이 상반기보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달까지 농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7%대, 하나은행은 4%대, 국민·신한·우리은행은 2%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작년 말 시중은행들에 올 가계대출 연간 증가율이 5∼6%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라고 주문했습니다.
이때문에 이 기준을 넘어버린 농협은행은 대출문을 아예 걸어 잠궈버렸습니다.
다른 은행들도 올해 남은 4개월 동안 당국의 기준을 맞추려면, 대출 증가 추세를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농협은행에 이은 연쇄적인 대출 중단 사태가 우려되는 이유입니다.
대출 불안 심리가 점점 확산하자 금융당국은 어제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자체 취급 목표치까지 여유가 있다”며 “농협 같은 조처가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습니다.
농협을 제외한 은행들 입장에서는 가계대출 증가율을 제한받으면서, ‘대출문은 함부로 걸어잠그지 말라’는 시그널을 받은 셈이라, 올해 남은 기간 관리 부담이 더 커졌습니다.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줄어들어 대출 수요가 쏠릴 수 있는데, 농협처럼 취급 중단을 하기도 곤란해진 겁니다.
대신 한도를 축소하거나 금리를 올려 상품의 매력도를 낮출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은행의 마진 등이 포함된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줄이는 식입니다.
또 모기지신용보험(MCI)과 모기지신용보증(MCG) 대출 판매 중단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은 주택담보대출과 동시에 가입하는 보험으로, 취급을 중단하면 대출상품의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실제로 농협과 신한은 이미 이 상품 취급을 중단했습니다.
은행들은 대출 상황을 지켜보겠지만 기존보다 대출 가능한 은행들이 적어 대출 증가를 막기 위한 추가 계획이 나올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윤다혜입니다. /yunda@sedaily.com
[영상편집 김현지]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동양·ABL 품은 우리금융, 분기 1조 클럽 기대
- BNK 회장 선임 '깜깜이'…경고장 날린 금감원
- 불장에 빚투도 역대급…4년만에 24조원 돌파
- 영우디에스피, 'SEDEX 2025' 참가…반도체 관련 솔루션 공개
- 미래에셋운용, ‘TIGER 미국S&P500 ETF’ 개인 누적 순매수 5조원 돌파
- 티로보틱스, 'SEDEX 2025' 참가…유리기판 진공 이송 로봇 공개
- 케이지에이, 코윈테크·탑머티리얼과 합동 IR 진행
- 9월 자동차보험 손해율 93.1…전년比 7.3%↑
- 신한투자증권, ‘처음ISA’ 서비스 가입고객 5000명 돌파
- 하나카드, ESG 일환 '하나로 연결된 아이들의 마음' 사업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여수광양항만공사, 북극항로 개척 위한 4개 기관 맞손
- 2한명숙 남원시의원 "물 재이용, 미래세대 위한 투자"
- 3출렁다리 254개 시대...지역관광, 다리만 놓고 끝났나
- 4이천쌀문화축제, “쌀로 잇는 즐거움”...22일 개막
- 5해리농협 천일염가공사업소, 코스트코 매장 입점 기념식 개최
- 6김병전 부천시의회 의장, 지역 미식 산업 활성화 캠페인 참여
- 7인천관광공사, 경찰·기업과 함께 치안산업 혁신 기술 선보여
- 8삼성전자 ‘XR 헤드셋’ 베일 벗었다…“멀티모달 AI로 혁신”
- 9‘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영업정지 6개월
- 10동양·ABL 품은 우리금융, 분기 1조 클럽 기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