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학의 ‘장중일기’-2021년 12월 21일 오전 시황] “매수 부재구간에서 발생하는 일시적 하락구간”

해외시장의 하락 여파에도 불구하고 개장 초 안정적인 흐름으로 시작하였으나, 이내 매물들이 출회되고, 하락세가 형성되자, 추가적인 매물들이 강도높게 출회되는 양상이다. 이는 특히 수급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대형주에 비해 개별 종목들로의 매물출회 강도가 높아지는 양상이다.
특히 올해 주가 상승폭이 큰 종목들 중심으로 매물의 집중적인 출회가 시세에 연동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28일 기산일 이전 대주주 요건에 해당되지 않기 위한 매물들의 선제적인 출회로 보여진다. 올해 큰 폭의 상승으로 인해 가족직계비 합산 평가잔액이 10억을 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졌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인한 약세를 보여주는 종목군은 29일 이후 재차 재매수 유입의 가능성 또한 상당히 높을 수 밖에 없다.
개장초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강한 출발을 배경으로 반도체 소재장비부품주로의 매기가 형성되어주며 시작했다. 그러나, 추가적인 시세의 강화 현상으로 연결되지는 못하는 가운데, 지난주 집단적인 움직임을 보여주었던 로봇관련주들이 휴식을 마무리하고 재차 강한 시세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들 로봇관련주들은 유통주식수가 많지 않은 가운데, 거래의 규모가 크지 않기에 시세의 변동성은 상당히 높게 나타나기에 지금과 같이 전체적으로 불안정한 시장상황하에서는 시세가 돋보이게 되고, 그로 인한 단기매매자들의 유입까지 증가하게 되며 대량거래와 더불어 더더욱 높은 변동성을 보여주게 된다.
현재 시장의 키를 가지고 있는 종목은 삼성전자이다. 삼성전자의 시세에 의해 반도체 소재장비부품주들의 안정적인 시세형성과 그로 인한 IT하드웨어 종목군 전반적으로 매기가 확산되고, 나아가 통신장비, 2차전지 그리고 디지털컨텐츠쪽으로 연결되면서 시장은 회복국면으로 발전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슬고리가 형성된 후 시장내 치고 가는 종목군이 발생하게 된다.
지금은 연말까지 특별한 대응을 해서는 안되는 구간이다. 특히 전체 거래가 부진한 가운데, 작은 거래에도 시세의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다. 급한 매물의 추가적인 정리와 더불어 가격대간의 매물공백이 현재 발생하고 있기에 시세전환시 매우 빠른 시세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본질적인 부분을 떠나 수급적으로 매수의 부재구간에서 발생하는 매물의 규모에 따른 가격의 일시적 하락구간일뿐이다.
△홍성학 더원프로젝트 대표 = 추세 추종 ‘울티마’ 투자기법과 프로그램을 개발해 분기별 안정적인 10% 수익을 목표로 실전 투자를 하고 있다. 대우·한화·동원증권 등에서 근무하며 증권사 고객영업 1위를 달성했으며, 2013년 증권방송인 한국경제TV에서 증권전문가 실적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NK부산은행, 모바일 전용 ‘ONE주택담보대출’ 출시
- KB국민은행, 2025년 국가고객만족도 시중은행부문 1위
- 한국투자증권 GWM, 패밀리오피스 초청 연말 컨퍼런스 개최
- 모아데이타, 삼성서울병원 국제심포지엄서 AI 헬스케어 사례 발표
- 대진첨단소재 “기술 유출 수사 대주주·법인 관련성 없어”
- 엠젠솔루션, 'AI 화재 진압 솔루션' 탑재 소방 로봇 특허 출원
- 조이웍스앤코 "호카 오프라인 리테일 사업 매출 성장세"
- SKAI인텔리전스, ‘AI 서밋 서울 2025’ 참가
- 키움증권, 대학생 50명에 장학금 1억원 전달
- 하나자산운용, ‘하나파이팅코리아’ 펀드 순자산 1000억 돌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교촌에프앤비, 3분기 영업익 113억원…전년比 47.2%↑
- 2원텍, 영업이익 전년 대비 87% 증가…“글로벌 경쟁력 확보”
- 3집현전 인베스트 앤 인사이트, 엔젤 투자사로 출범
- 4한국타이어, 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참여
- 5AI 중심도시 해남군, 공직자 역량 강화 'A.C.E 미래 양성교육' 진행
- 6종근당홀딩스, 2025 메세나대상 ‘문화공헌상’ 수상
- 7재택 근무 확산에 ‘공간 분리형 주거’ 급부상…화성 ‘더 스테이 새솔’ 관심
- 8에이비엘바이오, 릴리에 ‘그랩바디’ 기술이전…최대 3.8조원 규모
- 9대한항공, 진에어·에어부산과 日 주요 여행사 대상 ‘부산 팸투어’ 진행
- 10김철우 보성군수 "군민 모두가 건강한 지역 공동체로 성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