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척지토성 발굴조사에서 가야시대 토성 확인

전국 입력 2022-01-13 10:39:56 수정 2022-01-13 10:39:56 이은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가야시대 토성 성벽·성문터 등 5세기 후반~6세기 전반 중심 유물 출토

소백산맥의 남쪽에 위치, 삼국시대 국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함양 척지토성에서 삼국(가야)시대에 해당하는 토성의 성벽과 성문터를 비롯한 5세기 후반~6세기 전반을 중심으로 하는 유물이 확인됐다.

[함양=이은상기자] 소백산맥의 남쪽에 위치, 삼국시대 국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함양 척지토성에서 삼국(가야)시대에 해당하는 토성의 성벽과 성문터를 비롯한 5세기 후반~6세기 전반을 중심으로 하는 유물이 확인됐다.

 

함양군에 따르면 경상남도 및 함양군의 가야문화재조사연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현재 척지토성(함양읍 백천리 산2) 일원에 대한 학술조사(조사기관 ()두류문화연구원)가 진행 중이다.
 

척지토성은 2011서부 경남의 성곽에 처음 소개됐다. 함양군은 가야사 복원사업과 관련, 비지정 문화재인 척지토성에 대한 정비·보존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 2019함양 척지토성 정밀지표조사2020함양 척지토성 발굴(시굴)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발굴 조사구역은 척지토성의 북서쪽 성벽 및 추정 문지와 북동쪽 성벽 및 성내 평탄지에 해당한다. 현재 발굴조사가 진행 중으로 조사구역 내에서 삼국(가야)시대에 해당하는 토성의 성벽(·외벽부), 성문터(서문지), 도랑(내황) 등이 확인됐다.

성벽은 높이 2.2~3.5m 정도 잔존한다. 기저부의 너비가 12m 정도로 외벽부의 끝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은 점으로 미뤄 이보다 더 넓을 것으로 보인다.

 

성벽은 원지형을 정리한 다음, 다른 색깔의 풍화암반토를 교차적으로 성토하여 토제(흙으로 된 둑)를 조성했다. 내벽부의 성토 보강석과 외벽부에서 고쳐 다시 쌓은(수축) 흔적도 확인된다.

 

문지의 남쪽 측벽은 반원형이며, 북쪽 측벽은 교란으로 인해 측벽의 마감방법이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조사내용으로 보아 양쪽 측벽은 반원형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것으로 추정되며, 양쪽 측벽 간의 너비는 4m 정도다.

 

함양군서 발견된 가야시대 토성

유물은 성벽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두껑 달린 접시(개배)의 뚜껑()이 출토되었다. 이 뚜껑은 합천 봉계리·삼가고분군, 산청 생초고분군, 함양 공배리·백천리·도천고분군 등에서 출토된 뚜껑과 형태적으로 통하며, 이러한 형태를 가진 뚜껑은 합천지역에서 출토율이 높은 편이다. 뚜껑의 시기는 고분군의 동반 유물과 비교할 때, 삼국(가야)시대인 5세기 후반~6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최근 삼국(가야)시대에 해당하는 김해 봉황토성, 고령 주산성, 합천 성산토성, 함안 칠원산성·안곡산성, 고성 만림산토성 등이 조사되어 가야의 성곽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다.

 

이번 척지토성에서 가야 성곽 중 최초로 문지가 조사돼 가야 성곽의 실체에 조금 더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dandibodo@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은상 기자

dandibodo@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