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참상 '다랑쉬굴 발굴' 30周 맞아 재조명
제주언론학회, 4·3평화재단 등 공동주최 26일 세미나

[제주=금용훈 기자] 제주 4·3의 참혹함을 담고 있는 다랑쉬굴이 발견되고 그 유해가 공개된 지 올해로 30주년을 맞는다.
이에 제74주년 4·3추념식을 앞두고 다랑쉬굴이 4·3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에 미친 영향과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언론학회(회장 김동만)와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고희범), 제주4·3연구소(이사장 이규배)는 오는 26일 오후 2시 제주4·3 어린이체험관 평화교육강당에서 '다랑쉬굴 발굴 30년, 성찰과 과제'를 주제로 특별세미나를 공동 개최한다.
1부 주제발표에선 1992년 발굴 당시 현장을 취재했던 김종민(전 제민일보 4·3특별취재반 기자) 제주4·3위원회 중앙위원이 '다랑쉬굴 발굴의 언론보도와 진실 찾기'를 1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송창우(전 제주MBC 기자) 제주교통방송사장이 2주제로 '다랑쉬굴 언론보도가 4·3 진상규명운동에 미친 영향', 박경훈 제주4·3평화재단 전시자문위원장이 3주제로 '다랑쉬굴의 진상규명과 남겨진 과제'에 대해 각각 발표한다.
2부 토론회에선 허호준 한겨레신문 부국장의 사회로 박재현 KBS PD, 강철남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위원장, 강민철 제주도 4·3지원과장 등이 패널로 참여한다. 이날 다랑쉬굴 발굴의 언론보도 과정을 통해 과거를 성찰하고 다랑쉬굴의 4·3 진상규명에 미친 영향과 남겨진 과제 등에 대해 진단한다.

다랑쉬굴에서 발굴된 시신 [사진=제주언론학회]
희생자들의 주검은 무덤에 안장되지 못한 채 화장돼 바다에 뿌려졌고, 당시의 처참한 상황이 응축된 이 사건은 4·3의 참상을 전국에 알리는 계기가 돼 진상규명 운동의 기폭제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동만 제주언론학회장은 "다랑쉬굴이 발굴된지 3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다랑쉬굴의 참상에 대한 진상규명이 제대로 되지 않았으며 굴은 방치 되어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보이지 않는 압력으로 인해 화장되어 바다에 뿌려진 희생자들에 대한 명예회복 및 추모비 건립, 다랑쉬굴 유적보존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jb00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NK금융, ‘BNK 가슴뛰는 숏폼 공모전’ 시상식 개최
- 도성훈 인천교육감, 특수교육 현장 지원 위해 대통령실 찾아
- 인천시의회 김유곤 의원, 제4매립장 국가정원 조성 제안
- 의정부시, 세계 자살예방의 날 맞아 생명사랑 뮤지컬 개최
- 해남군, 추석 앞두고 농산물 안전성분석 실시
- '이재명 대통령의 발자취' 장성아카데미, 30년 역사와 미래를 말하다
- 진도군, 추석 앞두고 예초기 무상 수리·안전교육
- 장흥군, 지역 경제 핵심 '골목상권' 살리기 총력
- 공영민 고흥군수 "생산자에게 힘이 되는 정책 펼칠 것"
- 순창군의회, 제296회 임시회 폐회…추경 5825억 의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BNK금융, ‘BNK 가슴뛰는 숏폼 공모전’ 시상식 개최
- 2美, 현대차-LG엔솔 조지아 공장서 불법체류자 단속…"한국인 등 450명 체포"
- 3도성훈 인천교육감, 특수교육 현장 지원 위해 대통령실 찾아
- 4인천시의회 김유곤 의원, 제4매립장 국가정원 조성 제안
- 5의정부시, 세계 자살예방의 날 맞아 생명사랑 뮤지컬 개최
- 6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 7늦여름 막바지 더위에 해수온도 상승…'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 8해남군, 추석 앞두고 농산물 안전성분석 실시
- 9대웅제약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 인천백병원에 공급
- 10테이슨, 드론스테이션 관제시스템 드론워크 구축 완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