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워싱턴D.C '김치의 날' 제정…미국 내 4번째
김치·한복·판소리 등 잇단 문화공정 속 종주국 논란 종지부 기대

[나주=신홍관 기자] 미국의 수도 워싱턴D.C 의회가 한국이 김치 종주국임을 명시한 ‘김치의 날’ 제정 결의안을 의원 전원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김치의 날(11월 22일)은 김치의 가치와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2020년 국내에서 제정된 법정기념일로, 워싱턴D.C의 김치의날 제정은 지난해 8월 캘리포니아주, 올해 2월 버지니아주와 뉴욕주에 이어 미국에서만 네 번째다.
결의안에는 워싱턴D.C를 비롯한 미국 내 김치의 인기와 수요 증가, 김치의 역사, 건강식품으로서 김치의 우수성과 함께 한국이 김치의 종주국이며 2013년 유네스코가 김치 준비·보존과정인 김장을 무형 문화유산으로 인정했다고 명시하고, 매년 11월 22일을 워싱턴D.C ‘김치의 날’로 제정한다고 밝히고 있다.
최근 김치, 한복, 판소리 등을 자국의 역사이자 문화라며 문화공정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내 김치의 날이 잇따라 제정된 것은 한민족의 정체성과 한국이 김치 종주국임을 전 세계에 선언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되며, 향후 김치 종주국 논란에도 종지부를 찍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계 의원이 한 명도 없는 워싱턴D.C 의회에서 김치의 날 제정을 이끈 아니타 본즈 의원은 이번 김치의 날 제정에 적극 협조해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감사의 말을 전했다.
해당 의원은 “미국 수도 워싱턴D.C와 인근 지역(Metropolitan Area)에서도 한국 김치의 인기가 버지니아와 뉴욕 못지 않다”면서 “D.C 지역을 중심으로 미국인들의 한국 김치 사랑이 더욱 확산되길 희망한다”고 제정 소감을 밝혔다.
아니타 본즈 의원은 앞서 지난 5월 26일 버지니아주 김치의 날 제정 기념행사에 참석해 본인이 발의한 워싱턴D.C 김치의 날 제정 결의안을 김춘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에게 직접 전달한 바 있다.
김춘진 사장은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에서 김치의 종주국이 대한민국임을 명확히 한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면서 “미국에서 한국 김치 붐이 계속 확산되도록 다양한 마케팅을 추진하고, 11월에는 김치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세미나도 개최해 한국 김치와 K-Food의 위상을 높이고 수출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대미 김치 수출은 전년 대비 22.5% 증가한 2,800만 달러로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했고, 이는 10년 전 2011년 280만 달러에 비해 10배 가량 성장했다.
(참고사진1) ‘워싱턴D.C 김치의 날’ 제정 결의안 전달식(5.26일)
*
(참고사진2) 워싱턴D.C 의회 김치의 날 제정 등 의회 진행화면(6.28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부산시, 제106회 전국동계체전서 역대 최다 메달 성과
- 박균택 의원, 시민과 소통강화 '광산 동네한바퀴' 민생탐방 '눈길'
- 전남도, 독특한 매력 지닌 이색 회의장소 ‘유니크베뉴’ 공모 나서
- 광주 명품 특산물 ‘무등산 수박’, 옛 명성 되찾는다
- 기장군민축구단, 올해 K4리그 첫 데뷔전서 아쉬운 패배
- 김정오 박찬대 원내대표 정무특보, 담양군수 재선거 출마 행보 본격화
- 광주 북구, 대한민국 건강고령친화도시 정책대상 ‘우수상’ 수상
- 강기정 시장, 주한 일본대사와 우호협력 논의
- 광주 서구의회 임성화 의원, ‘청소년 복합체육시설’조성 제안
- 함평군‧전남도‧(주)동우, 67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최익환(롯데손해보험 커뮤니케이션팀 책임)씨 모친상
- 2부산시, 제106회 전국동계체전서 역대 최다 메달 성과
- 3EU, 러시아 동결자산 403조원 압류 검토
- 4트럼프 관세로 EU 수출 42조 타격 추정
- 5삼성물산, 송파 대림가락아파트 재건축 수주
- 6중기부, 백년소상공인 신규 선정…"글로벌 성장 지원"
- 7LH, 올해 공공주택 10만가구 승인…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 8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9국토부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추가 인상"
- 10쿠팡, 우수 PB 중소협력사 시상식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