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인공관절, ‘정확한 삽입위치’가 통증 개선 좌우

인공관절수술은 나이가 들며 손상된 무릎 연골과 관절을 제거하고,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이다. 무릎 통증이 심해지는 퇴행성 관절염 말기에 주로 시행하며, 통증의 주요 원인인 관절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염증과 통증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지난 1960년 존 찬리로부터 시작된 인공관절수술 맞춤형 인공관절, 내비게이션, 로보닥 등 정확도를 높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해 왔다.
하지만 의학 기술의 진보 속에서도 인공관절수술을 받은 10명 중 1~2명은 수술 후 통증과 강직 등으로 불만족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삽입 위치’에 따른다.
문제는 그동안 인공관절 삽입 위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삽입 위치와 관련된 논란 역시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인공관절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지 않으면 수술 후에도 지속되는 통증과 강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재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연세사랑병원 연구진이 관절염 환자 977명의 3D MRI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인공관절 삽입 시 가장 정확한 위치는 경골결절 내측 3분의 1지점이라는 결과를 도출했다”며 “환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말했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은평성모병원 “폐 기능 보존하는 '단일공 흉강경 폐암 수술', 안전하고 효과적”
- 인천힘찬종합병원, ‘우수내시경실’ 인증 획득
- 담배 피우세요? 후두암도 조심하셔야 합니다
- 이대비뇨기병원 고영휘 교수, ‘순수단일공 수술법’ 개발…비뇨기 종양에 적용
- 인천세종병원 이상명 부장, 담낭·탈장·충수 수술 3600례 기록
- 간단한 초음파 검사로 ‘난소암 수술’ 난이도 예측한다
- 아리바이오 “먹는 치매 국산 신약, 성공 기대 커졌다”
- 류마티스·건선 등 만성 염증, 유전자 스위치 조절해 잡는다
- 연세의료원, 아시아 지역 간 건강관리 수준 높인다
- 고려대 고령사회연구원, '초고령사회와 디지털 전환' 국제심포지엄 성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영천교육지원청, '2025 영천학교예술교육한마당' 개최
- 2포항시, UNIDO·글로벌 철강산업 주요 인사 초청 …포스코 현장 시찰
- 3포항시·포항TP, 글로벌 기술기업 오스트리아 AVL과 수소산업 MOU 체결
- 4'오래된 미래도시’ 경주, 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 스타트
- 5영천시,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1조 4763억원 편성
- 6한국수력원자력, 경남 원전 르네상스 주역 찾아가다
- 7삼성화재, '해외 2시간 항공지연 특약' 출시
- 8오승현(현대해상화재보험 부장)씨 모친상
- 9SGI서울보증
- 10덕신EPC, 미국 조지아서 ‘스피드데크’ 샘플 시공 완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