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인공관절, ‘정확한 삽입위치’가 통증 개선 좌우

인공관절수술은 나이가 들며 손상된 무릎 연골과 관절을 제거하고,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이다. 무릎 통증이 심해지는 퇴행성 관절염 말기에 주로 시행하며, 통증의 주요 원인인 관절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염증과 통증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지난 1960년 존 찬리로부터 시작된 인공관절수술 맞춤형 인공관절, 내비게이션, 로보닥 등 정확도를 높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해 왔다.
하지만 의학 기술의 진보 속에서도 인공관절수술을 받은 10명 중 1~2명은 수술 후 통증과 강직 등으로 불만족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삽입 위치’에 따른다.
문제는 그동안 인공관절 삽입 위치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삽입 위치와 관련된 논란 역시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인공관절이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지 않으면 수술 후에도 지속되는 통증과 강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재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연세사랑병원 연구진이 관절염 환자 977명의 3D MRI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인공관절 삽입 시 가장 정확한 위치는 경골결절 내측 3분의 1지점이라는 결과를 도출했다”며 “환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말했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부천세종병원, 선천성 심장병 필리핀·캄보디아 환아 3명 의료나눔
- 이대목동병원, ‘펨테크 심포지엄’ 성료
- 식욕 억제 다이어트의 함정…살찌는 체질 만든다?
- “초응급 산모, 출산·간이식 모두 성공…의료진이 만든 ‘세 번의 기적’”
- 초기 증상 없는 폐암, '저선량 흉부 CT' 검진이 최선
- HIV 차별과 편견 종식을 위한 '레드 마침표 캠페인’ 성료
- 흉선암에도 면역항암제가 효과
- 경희대병원 장재영 교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이사장 선출
- 국민 84% "신약 혁신, 개발만으론 부족…환자 접근성까지 보장돼야"
- 서울대병원, 고위험 산모·신생아 위한 ‘중증 모자의료센터' 개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HD현대, 석화재편 첫 발 뗄까…이사회 ‘촉각’
- 2차기 금투협회장 선거 개막…정통·관료·현직 3파전
- 3'적자’ SK온, 공모채 1000억 도전…“본업 회복은 과제”
- 4더본코리아, 구조개편 바쁜데…‘백종원 리스크’ 여전
- 5소액주주 반란에 시끄러운 셀트리온…서정진 입 열었다
- 6손보 업계 판도 변화…DB 제친 메리츠
- 7영풍 석포제련소 ‘낙동강 카드뮴 유출’ 공방…20일 과징금 취소청구 항소심 결심
- 8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한국관세사회, 중소기업 관세 리스크 대응 강화
- 9인천시, 대무의항 기능 회복 청사진…“서해 거점어항 재도약 본격화”
- 10골칫거리 된 네이버 ‘바이브’…철수설 솔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