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희 의원, “지식재산산업 육성 위해 특허 활용 유도해야”
기업 특허 활용률 전년대비 4.3% 하락, 수도권이 지방보다 활용률 떨어져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대학·공공연의 보유 특허 활용률이 개선된 가운데 기업의 특허 활용률은 갈수록 떨어져 기업의 적극적인 특허 활용 유도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양금희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특허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특허 활용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의 특허 활용은 27.7%로 전년보다 5.6% 상승했으나 기업의 보유 특허 활용율은 73.4%로 전년 대비 4.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지식재산활동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수도권 지역의 기업 특허 활용률은 76.7%를 보인 것에 비해 기업들이 밀집한 수도권은 특허 활용률이 72.4%에 그쳤다.
대학·공공연의 경우 2개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전년 대비 특허 활용률이 상승하면서 2014년 이래 가장 높은 특허 활용률을 기록했다.
전년에 이어 특허 활용이 가장 높은 충남 지역은 58.9% 활용률을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활용률이 12.6% 증가했고 강원 지역이 41.3%의 활용률로 뒤를 이었다.
대학들이 밀집한 수도권 지역은 서울이 25.5%, 경기가 22.8%의 활용률을 보이며 전년대비 크게 개선된 모습을 보인 반면 인천은 8.4%를 기록하며 전국 최저 활용률을 기록했다.
또한, 최초 특허 등록 이후 10년이 지나면 특허 등록료가 기술료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 특허의 등록 연차가 늘어날수록 특허 유지에 따른 비용 부담이 발생하여 적자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대학과 공공연의 정부 연구비 대비 특허 성과 이전을 통한 기술료의 비율을 비교했을 때 기술료 수입 감소세도 계속되고 있다.
실제 2020년에는 2016년보다 기술료 수입이 약 532억이 급감했고 연구비 대비 수입 비율도 2016년 0.7%에서 2020년 0.1%로 급감했다.
양금희 의원은 “국민 혈세를 투입해 만들어낸 특허는 기업과 연구기관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기술 수입이 창출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하며“지식재산 기반 산업이야말로 4차산업혁명 시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기에 국가 차원에서 특허 활용을 통한 신산업 육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남양주시, 43년 만에 문화원 첫 독립 청사 개원
- ‘용인포은아트홀’ 새단장 마치고 다양한 공연 줄이어
- [기획Ⅱ] 인천의 에너지 전환, 지역발전의 미래를 열다
- 진도군, 고속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
- [포토] 한국도자재단, 빛나는 손끝의 예술…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
- 오산시, '오색찬란 희망찬 빛의 도시' 도약
- 부천 대장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줄줄이' 지연…입주민 교통대란 우려
- 한탄강·광릉숲, 유네스코 협력 논의…국제포럼 포천서 개막
- 포천시의회, 장자산단 안정화 대책 논의…기업 부담 완화 방안 모색
- 일제강제동원 제3자 변제 인감 위조…"책임자 처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양주시, 43년 만에 문화원 첫 독립 청사 개원
- 2‘용인포은아트홀’ 새단장 마치고 다양한 공연 줄이어
- 3인천의 에너지 전환, 지역발전의 미래를 열다
- 4진도군, 고속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
- 5서울대병원, 이종조직판막 인간 재세포화 성공
- 6한국도자재단, 빛나는 손끝의 예술…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
- 7고려대안산병원 서보경 교수, 유럽유방영상의학회 최다 인용 논문상 수상
- 8오산시, '오색찬란 희망찬 빛의 도시' 도약
- 9부천 대장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줄줄이' 지연…입주민 교통대란 우려
- 10한탄강·광릉숲, 유네스코 협력 논의…국제포럼 포천서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