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교육청, 이월·불용액 연평균 5조 6천억 원"
이태규 의원, 교육부 자료 결과 분석

[제주=금용훈 기자] 국회교육위원회 간사 이태규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한 해 평균 이월금액은 3조8,851억5500만원이고, 불용액은 1조7,288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월액이란 불가피한 사정으로 연도 내 지출하지 못해 다음 연도에 사용할 것으로 넘기는 금액이고, 불용액은 세출예산 중 당해 회계연도에 집행하지 못한 금액을 말한다.
시도교육청별로 살펴보면 한 해 평균 이월액이 가장 많은 교육청은 경기도교육청으로 연평균 7,144억1,200만원을 이월하였고, 다음으로 서울시교육청이 4,219억5,100만원, 경남도교육청이 3,675억9,800만원, 경북도교육청 3,404억6,600만원, 인천시교육청이 2,791억5,500만원의 순으로 연평균 이월액이 많았고, 제주는 1,392억5,200만원 이였다.
특히 이월액 중 명시이월액이 약 절반 가량인 49.8% 1조9,343억3,7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명시이월이란 회계연도 내 그 지출을 끝내지 못할 것이 예상되어 미리 지방의회 의결을 얻어 다음 연도로 이월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지난해 4월 감사원은 '지방 교육재정 효율성 및 건전성 제고 실태'를 감사하면서, 시․도교육청의 명시이월되는 예산이 발생하는 이유가 시․도교육청이 시설사업비에 대해 이월예산액을 미리 파악하고도 추경예산 편성 시 이를 감액․조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교부금 정산분 등 추가 세입을 연도내 집행이 어려운 시설사업비로 세출예산에 편성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불용액 또한, 경기도교육청이 한 해 평균 3,721억원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제주도교육청이 367억원이며, 서울시교육청이 3,670억원, 경북도교육청이 975억원, 경남도교육청이 957억원, 대구시교육청이 846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불용액이 발생한다는 것은 결국 학생들에게 돌아가야 할 재원이 더 필요한 곳에 사용되지 못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태규 의원은 "예산을 일단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사업부서의 관행과 쪽지예산을 통해 사업에 대한 준비과정 없이 무리하게 추진하는 사업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면서, "시설사업의 경우 미리 해당연도에 과다하게 편성하는 관행을 타파하고 해당연도에 집행할 수 있는 필요 최소한의 예산만 편성하도록 하여 교육재정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이월액과 불용액 감소 방안을 강구해야 할것"이라고 밝혔다. /jb00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부산도시공사, 노후임대아파트 분말소화기 지급으로 화재 대응력 강화
- 아이엠뱅크, ‘iM외화배송서비스 신청 고객’ CU편의점 상품권 선착순 증정
- 영남이공대, 베트남 반랑사이공전문대와 글로벌 인재 양성 위한 맞손
- 경북교육청정보센터, 세대공감 어울림 북콘서트 성료
- [영덕군 소식] 영덕군, 청년문화예술패스 최대 15만원 지원
- 2025 STAY영덕 추계 중등 축구대회, 14일간의 열전 돌입
- 영남대·KERIS, ‘AI시대 학부모 역량 강화’ 디지털교육포럼 성료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영덕군 산불 피해지역 의료지원 활동
- 영덕군, '영덕 어린이 여름대축제’ 개최
- 영남대, 신경 줄기세포 운명 결정하는 ‘Wnt-Mbd3 축’ 최초 규명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해상, 상반기 순이익 4510억원…전년比 45.9% 감소
- 2금호타이어, SBTi 온실가스 감축 목표 승인…"2045 탄소중립 목표"
- 3'창립 15주년' 티웨이항공, 글로벌 LCC 도약 박차
- 4신한운용 ‘SOL 미국원자력SMR’, 순자산 2000억원 돌파
- 5휴넷플러스, 글로벌 투자 유치로 소부장 핵심 기업 도약
- 6롯데월드타워, 태극 문양 및 애국 메시지 담은 광복절 콘텐츠 송출
- 7부산도시공사, 노후임대아파트 분말소화기 지급으로 화재 대응력 강화
- 8이노메트리, 2분기 흑자전환…하반기 더 큰 도약 정조준
- 9LG유플러스 임직원들, 광복 80주년 일제강점기 피해 동포 지원
- 10아이엠뱅크, ‘iM외화배송서비스 신청 고객’ CU편의점 상품권 선착순 증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