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위암 예방을 위한 최적의 위내시경 검사 주기는

위내시경 검사는 식도, 위, 십이지장 등을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며 질환 발병 여부를 세밀하게 파악하는 검사이다. 우리나라는 40~74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2년 주기로 예방 차원의 위내시경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 위내시경은 국가암검진사업에 포함된 검사 항목이기도 하다.
특히 위축성 위염, 위암 등은 당장 발병해도 별다른 이상 증세를 일으키지 않아 위내시경 검사에 의한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 중요한 점은 2년마다 1회 시행하는 위내시경 검사 주기에서 예외 대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바로 불규칙한 식생활, 맵고 짜게 먹는 식습관 등을 영위하는 20~30대 역시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 대상일 수 있다.
짠 음식이나 자극이 강한 음식은 위 점막을 손상시키는 요인이다. 만약 스스로 식습관이 올바르지 않다고 인지하는 경우, 속이 자주 쓰리고 명치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라면 빠른 시일 내에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암은 가족력도 주의해야 한다. 위암은 수많은 암종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유전성 암이다. 위암 가족력이 있다면 체내 정상 세포에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자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세포의 이상 증식을 막는 유전자인 'P53'나 암 억제 유전자인 세포표면접착단백질(CDH1)의 유전자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했다면 유전으로 인한 위암 발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직계 중 3명 이상 위암 환자가 발생했다면 유전적 요인을 의심하고 의사 권고 기준에 따라 연 1회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위암의 전 단계 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환자라면 위내시경 검사 주기를 빠르게 확보하는 것이 좋다.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선종성 용종, 위궤양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 중에서도 위축성 위염은 위암으로 발전하는데 10~15년 정도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위내시경 검사에 의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수다. 아울러 위궤양으로 인해 절제술을 받았다면 위암 발생 확률이 정상인에 비해 높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도 추적 관찰 대상이다. 헬리코박터균은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만성 위염의 원인균일 뿐 아니라 위암 발병을 부추기는 요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비말로 전염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 중 한 명이라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됐다면 구성원 모두 위내시경 정기 검사가 권장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강진우 우현병원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오세훈 서울시장, ‘주말 도심 집회 안전대책회의’ 열어 대응계획 점검
- 경남도, 도내 지하차도 52곳 안전점검 실시
- 고용부 창원지청, 산불 사망 사고 관련해 중처법 위반 여부 본격 조사
- 용인시, 체납자 압류 동산 자체 공매시스템 구축 계획
- 변덕스러운 날씨에 유채꽃축제 2년 연속 불발
- 조기 대선으로 학교 학사일정도 변경 불가피
-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만화박물관서 ‘K-콘텐츠’ 알린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시 "영도구·동구 빈집들, 기숙사·체육공원으로 확 바뀐다"
- 2기아 EV3, ‘2025 세계 올해의 차’ 선정
- 3한국타이어, 전기 SUV ‘루시드 그래비티’에 타이어 공급
- 4파리바게뜨, '토트넘 홋스퍼' 빵·케이크 라인업 선봬
- 5할리스, 스포츠 텀블러 7종 출시…"취향 따라 선택"
- 6투썸플레이스, 하이드로 플라스크 ‘젤리 에디션' 국내 출시
- 7UAE 공군 KF-21 시제기 탑승…KAI, 중동시장 확대 노린다
- 8제주항공, 1분기 정비 지연율 개선…"운항 안정성 강화"
- 9티웨이항공, 유럽 노선 여객·화물 운송 현장점검
- 10한국앤컴퍼니 ‘한국 배터리’,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수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