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로 변한 집주인…수도권 전세 매물 14만건
수도권 아파트 매매 매물 한달새 4.5% 감소
쌓여가는 전세 매물, 한달새 약 1만건 증가
전세 시장, 12개월째 '공급 우위'
12월 첫주 전세수급지수 68.0…10년만 최저 수준
전세도 급매물 위주 거래…전셋값 변동률 -1.00%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앵커]
수도권 전세매물이 한달새 1만건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집주인들이 거래절벽에 지쳐 팔기를 포기하고 전세로 집을 내놓고 있는데, 이마저도 거래가 쉽지 않은 겁니다. 이지영 기자입니다.
[기자]
수도권에 쌓여있는 아파트 전세 매물이 14만건을 넘어섰습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어제 기준으로 서울·경기·인천의 아파트 매매 매물은 총 18만6,863건으로, 한달 전(19만5,807건)과 비교해 4.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전세 매물은 13만2,252건에서 13만9,568건으로 5.5% 증가했습니다. 한 달 사이 약 1만 건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
거래절벽에 매매 대신 전세로 돌리는 집주인이 늘었고, 임차인들은 월세 시장으로 몰린 탓에 전세 수요가 줄면서 시장에 전세 매물이 쌓이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A 공인중개사
"매매 매물을 내놓은 집주인들이 전세로 돌리는 현상이 조금씩 더 늘어나고 있어요. 전세 금리가 너무 높다 보니까 오히려 세입자들은 전세보다 월세를 더 많이 찾고 있는 상황입니다. 비율로 따지면 월세가 9 전세가 1정도입니다."
전세 시장에서는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는 상황이 12개월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수도권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지난해 12월 둘째 주부터 기준선인 100을 밑돌고 있습니다. 이 지수가 100아래면 공급보다 수요가 적다는 뜻입니다.
가장 최근 수치인 올해 12월 첫째 주 지수는 68.0으로 2012년 7월 통계작성 이래 가장 낮았습니다.
전세 시장에서도 가격을 시세보다 크게 내린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는 상황입니다. 지난 5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변동률은 -1.00%로 2012년 5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기중앙회, 한·일 경제협력 인식조사 발표
- 중진공, 인도공과대학 TIF와 AI 기술협력
- 국토부·외교부, 13개국과 항공회담…UAE 지방공항 운수권 신설
- 현대백화점, 현대어린이책미술관 고객 참여형 전시 프로그램 운영
- CJ대한통운, 리얼월드와 ‘물류용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공동 개발 나선다
- 제네시스, 美 매체 선정 ‘2026년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
- 고령운전자 운전 기록 분석해보니…141명 석달 간 페달오조작 71회
- HD현대, 美안두릴과 자율 무인수상함 협력
- 스타벅스, 모닝 세트 이용 고객 증가…"구성 다양화 예정"
- 쿠팡 로켓그로스, 소상공인 성장 '발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2부천도시공사, 조직 운영 전반 불안정 지적
- 3경기북부 3대 교통현안 ‘동시 지연’…도민 불편 가중
- 4NEXT K: 전북
- 5양양군 7급 공무원, 환경미화원 '갑질 논란' 일파만파...군은 "깊이 송구"
- 6포항시, 직원 소통·화합 행사 개최…취약지역 환경정비와 안전 배출 홍보도 진행
- 7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 포항에코빌리지 성공 조성 위한 선진지 견학 나서
- 8아태이론물리센터, 아태ai센터 포항유치필요성 논의...공감대 확산 본격화
- 9포항시, ‘2025 해양 모빌리티 안전 엑스포’서 북극항로 특화 전략 선보인다
- 10포항시, 호동근로자종합복지관·건설기능학교 새단장…근로자 복지 인프라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