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와 일본 진출한 마르디 메크르디, 1년만에 매출 30억원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무신사는 자사와 함께 현지 맞춤형 브랜딩 전략을 펼친 마르디 메크르디가 일본 진출 1년 만에 매출액 30억 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무신사는 국내 여성 패션 브랜드 '마르디 메크르디'의 일본 현지 세일즈와 마케팅을 지원하고 있다. 시그니처 꽃 패턴으로 국내에서 열풍을 일으킨 마르디 메크르디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수요가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마르디 메크르디는 2021년 10월 브랜드 공식 스토어를 오픈하면서 본격적으로 일본에 진출한 지 6개월 만에 10억원 매출을 달성했다. 지난 2022년에는 30억 원에 달하는 연매출액을 기록했다.
무신사는 마르디 메크르디가 단기간에 안정적으로 일본 시장에 안착할 수 있었던 것은 자사와 협력을 통한 체계적인 브랜딩 현지화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무신사는 일본에서 국내 브랜드의 공식 온라인 스토어 구축과 사업 운영을 위한 인프라를 마련하고, 마케팅과 팝업 스토어 등 브랜딩 차원의 활동도 지원하고 있다. 현지 인력이나 해외 사업 경험이 없는 중소규모 브랜드도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타깃 시장에 맞춘 현지화된 마케팅 전략도 빠른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일본 유명 연예인과 협업 제품을 출시하거나 패션 인플루언서와 룩북을 제작해 브랜드 인지도를 끌어올린 활동이 대표적이다. 또 일본 고객을 공략해 일부 제품을 한정 라인으로 예약 발매하는 전략도 매출 증대로 이어졌다.
무신사 관계자는 "올해에는 오프라인 판로를 추가로 개척하고 협업 마케팅을 확대하는 등 매출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할 것"이라며 "마르디 메크르디와 같은 성공 사례를 더 많이 만들기 위해 무신사 재팬을 중심으로 국내 브랜드의 일본 진출을 지속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기중앙회, 한·일 경제협력 인식조사 발표
- 중진공, 인도공과대학 TIF와 AI 기술협력
- 국토부·외교부, 13개국과 항공회담…UAE 지방공항 운수권 신설
- 현대백화점, 현대어린이책미술관 고객 참여형 전시 프로그램 운영
- CJ대한통운, 리얼월드와 ‘물류용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공동 개발 나선다
- 제네시스, 美 매체 선정 ‘2026년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
- 고령운전자 운전 기록 분석해보니…141명 석달 간 페달오조작 71회
- HD현대, 美안두릴과 자율 무인수상함 협력
- 스타벅스, 모닝 세트 이용 고객 증가…"구성 다양화 예정"
- 쿠팡 로켓그로스, 소상공인 성장 '발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2부천도시공사, 조직 운영 전반 불안정 지적
- 3경기북부 3대 교통현안 ‘동시 지연’…도민 불편 가중
- 4NEXT K: 전북
- 5양양군 7급 공무원, 환경미화원 '갑질 논란' 일파만파...군은 "깊이 송구"
- 6포항시, 직원 소통·화합 행사 개최…취약지역 환경정비와 안전 배출 홍보도 진행
- 7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 포항에코빌리지 성공 조성 위한 선진지 견학 나서
- 8아태이론물리센터, 아태ai센터 포항유치필요성 논의...공감대 확산 본격화
- 9포항시, ‘2025 해양 모빌리티 안전 엑스포’서 북극항로 특화 전략 선보인다
- 10포항시, 호동근로자종합복지관·건설기능학교 새단장…근로자 복지 인프라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