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계열사 사업 호조에 지난해 영업익 1조 달성…전년比 22.5%↑

[서울경제TV=성낙윤기자] 두산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7조 538억 원, 영업이익 1조 1,283억 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전년대비 매출 32.0%, 영업이익은 22.5% 성장했다. 두산밥캣 등 계열사 사업 호조가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그룹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대규모 재무구조개선에 나섰던 2020년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실적 상승세와 함께 재무건전성 지표도 큰 폭으로 개선됐다. 두산의 지난해 부채비율은 156.0%로 전년 대비 52.9%p 감소했으며, 19년도와 비교 시 171.7%p 감소했다.
두산 자체사업 및 자회사별 성과를 살펴보면, 우선 두산 자체사업은 지난해 연간 실적 매출 1조 3,089억원, 영업이익 1,134억원을 기록했다. 전자BG를 비롯한 전 사업부의 고른 성장을 통해 전년 대비 매출이 5.9% 증가했다. 전자BG 자체 매출은 하이엔드 제품 중심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전년대비 3.8% 성장했고, 두산의 신사업 자회사(두산로보틱스, 두산로지스틱솔루션,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는 사업 영역 다변화, 대형 수주 등을 통해 전년대비 매출 17.2% 성장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연간 연결재무제표기준, 매출 15조 4,433억원, 영업이익 1조 1,07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40.5%, 영업이익은 27.4% 증가했다. 지난해 누계 수주는 전년대비 19.6% 증가한 7조 5,842억원을 달성했다. 최근 3년간 수주 금액(20년 4.6조원, 21년 6.3조원, 22년 7.6조원)이 증가세를 유지함에 따라 향후 실적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부채비율은 재무구조 개선 노력으로 전년말 대비 40.4%p 감소한 128.9%(연결 기준)를 기록했다.
두산밥캣은 지난 8일, 지난해 연간 매출 8조 6,219억원, 영업이익 1조 71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대비 각각 48%, 80%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 연간 영업이익률은 12.4%로, 전년보다 2.2%p 늘었다. 견조한 수요와 GME(농업 및 조경 장비) 제품군의 가파른 성장, 2021년 7월 인수한 두산산업차량 연간실적 반영 등이 호실적을 이끌었다. 특히 기존 두산밥캣 사업(산업차량 제외)에서 선진 시장의 탄탄한 수요를 바탕으로 전년대비(달러 기준) 소형 장비가 20%, 포터블파워는 24% 성장하면서 사상 최대 매출액을 올렸다. /nyseo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