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 수해 복구 135일간 기록 담은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 발간”

경제·산업 입력 2023-03-28 09:54:00 수정 2023-03-28 09:54:00 성낙윤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포스코]

[서울경제TV=성낙윤기자] 포스코는 태풍 힌남노가 불러온 초대형재난을 극복한 포스코의 사투를 담은 기록 함께 만든 기적, 꺼지지 않는 불꽃을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이 펴냈다고 28일 밝혔다.

 

여의도 면적의 3배에 달하는 포항제철소의 생산라인이 완전히 침수된 사상 초유의 재난을 135일 만에 복구했다는 소식에 지역학과 사회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필진 19인이 모였다. 피해현장을 둘러보고 제철소 복구작업에 참여한 이들을 인터뷰하면서 유례없이 빨랐던 복구 과정을 추적했다.

 

변압기 폭발로 전기가 끊기고 통신까지 두절된 암흑천지의 침수현장에서 새내기 직원 한 명조차 빠짐없이 밤 새워 복구작업에 나섰다는 회고다. 포스코 임직원뿐만 아니라 협력사 직원까지 전국 각지에서 몰려와 진흙을 제거하는 수작업에 일손을 보탰다. 국내외 고객사, 공급사도 도움의 손길을 건넸고 군부대, 시민 등 지역사회도 격려와 응원을 보냈다. 135일간 연인원 140만여 명, 하루 평균 15,000명이 공장 복구를 위해 벌인 사투는 극적이다. 불가능할 것 같았던 재난극복을 기적 같은 현실로 만들어낸 과정을 스토리텔링으로 풀어쓴 이 책은 상호신뢰와 희망으로 굳게 뭉친 공동체가 위기를 도약의 발판으로 만들 수 있음을 증명한 기록이다.

 

모든 공장이 가동을 멈춘 날, 포항제철소는 물에 잠기고 하나의 고립된 섬이 되었다. 변압기 폭발로 변전소가 기능을 멈추고 통신까지 두절된 암흑천지. 손전등으로 길을 밝힌 채 변전소의 물을 퍼내고, 부품을 교체하고, 진흙을 닦아 냈다. 전기가 들어오면서 복구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자 젖은 부품을 말리는 드라이어가 속속 공수됐고, 물펌프가 가동됐다.

 

포항제철소 피해복구에 참여한 연인원은 무려 140만여 명. 포항과 광양 두 제철소의 전ㆍ현직 직원들은 추석연휴와 주말을 반납하며 공장 복구에 힘을 쏟았다. 국내외에 걸친 포스코의 전체 협력사, 고객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대한민국 전역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유ㆍ무형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공무원과 해병대, 소방대 등도 가세했다. 13,500개의 모터를 수리하는 일에 건조기가 있는 전국의 공장들이 모두 팔을 걷어붙였다.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철을 생산하는 포항제철소가 멈추면 대한민국 제조업 상당수가 멈춘다. 포항제철소가 단기간에 재난을 극복한 것은 한국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위협을 조기에 막아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이 같은 기적을 만드는 일은 복구작업에 함께한 영웅들의 힘이 하나로 뭉쳤기에 가능했다. 5시간여를 버스로 달려와 복구작업에 참여한 직원들, 고칠 수 있는 것은 모두 고치는 명장과 그를 따르는 기술 인력, 제철소 복구 경험을 보유한 책임자, 침수 직전에 용광로를 멈추는 결단을 내려 피해를 줄인 경영진까지 복구과정 내내 기어의 톱니처럼 맞물려 돌아갔다. , 교체가 불가피한 장비를 해외에서 들여올 수 있는 귀한 인연이 마련되어 있었고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으로서 다양한 사회 주체들과 맺어온 관계망까지 복구에 도움이 되었다. /nyseo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