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새 뇌관 다중채무…위기감 높아졌다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3군데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가 최근 가계부채의 새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특히 청년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빚 돌려막기'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체율 증가도 뚜렷해져 시급한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청년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다중채무 취약차주’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다중채무 취약차주란 3개 이상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저신용 (7~10등급) 또는 저소득 (하위 30%) 차주를 말합니다.
오늘(17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2022년 4분기 30대 이하 다중채무자 수는 지난 1년간 6만 5,000명 늘어난 141만 9,000명으로 집계됐고, 60대 이상 다중채무자는 4만명 늘어난 58만 1,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기간 취약차주 대출 규모 역시 청년과 노년층에 두드러진 증가세가 나타났습니다.
다중채무자가 늘어나는 추세는 최근 만의 일은 아닙니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최근 나이스평가정보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5개 이상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는 2022년 말 기준 110만7,000명으로, 2020년 말(95만1000명)과 비교해 16.4%가 증가했습니다.
문제는 이들이 빚을 제때 갚을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지난 1년 동안 다중채무자 연체액은 6조 4,000억 원으로 1년간 1조 3,000억 원 늘었습니다. 증가율은 25%에 육박합니다.
특히 올해 하반기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조치 등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연체 대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이 때문에 가계부채의 새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 상황.
[싱크]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
"올 한 해 정도 좀 극복될 수 있도록 정부가 좀 더 적극적으로 도와줘야 된다… 정부가 지원하는 이런 서민금융 대출을 받아라 그렇게 적극적으로 정부가 좀 홍보도 하고 정책 자금 재원 자체도 좀 늘려야 된다…"
올 하반기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이어서 적극적인 금융지원 프로그램은 물론,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위기 대응책을 마련해야한다는 조언입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키움증권, 카카오뱅크와 ‘26주적금with키움증권’ 출시
- 미래에셋운용, ‘K 배당 시리즈’ ETF 2종 순자산 1조 2000억원 돌파
- 한투증권, ‘쿼터백 로보일임’ 출시…업계 최다 라인업 완성
- [부고] 정만성(대신자산운용 대표이사)씨 모친상
- 에스티큐브 “대장암 1b상 결과 전원 종양 감소”
- [부고] 서민우(플루토스 부장) 씨 조모상
- 메드팩토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서 완전관해(CR) 달성”
- 한투증권, 소비자보호 TF 신설…”설계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 혁신”
- 메리츠증권, 글로벌 핀테크 ‘위불’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한국콜마, 3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목표가↓-SK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G생활건강, 3분기 영업익 462억…전년比 56.5%↓
- 2인천 강화군, 유소년 축구 성지 꿈꾼다
- 3안성시, '2025 참좋은 지방자치 정책대회' 최우수상 수상
- 4인천관광공사, ‘인천상회’ 통해 지역 관광기업 판로 확대
- 5용인특례시의회, 제297회 제 2차 정례회 개회
- 6인천 연수구, 자문회의서 주민 생활 밀착형 정책 논의
- 7인천시, 시민 안전·심리 안정 색채 전략 주목
- 8인천시의회 정해권 의장 “생활체육은 시민 행복의 힘”
- 9인천시, 기업 수요 반영한 바이오 특화단지 설계 본격화
- 10인천시, “체납 회피는 없다”…오메가 징수반 성과 주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