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이자 더 늘텐데"…연체율 2% 돌파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카드사들의 리볼빙·카드론 연체율이 올 1분기 2%대로 급증했습니다. 이용하는 사람들은 늘고 앞으로 금리도 상승 곡선을 타고 있어 가계부채 부실에 경고등이 켜질 거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올 1분기 리볼빙과 카드론 연체율이 처음으로 2%대를 돌파했습니다.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7개 전업카드사(KB국민·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카드)의 리볼빙 연체율은 2.38%로 나타났습니다. 2년 전(1.76%)과 비교해 0.5%포인트 넘게 늘었습니다.
특히 하나카드와 우리카드는 각각 연체율이 2.96%과 2.85%로, 거의 3%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카드론 연체율 또한 같은 기간 1.79%에서 2.13%로 증가했습니다.
연체 규모도 늘었습니다. 리볼빙 연체액 총합은 1,500억원으로 2년 전 대비 50% 커졌고, 카드론 연체액도 2022년말 부터 급격히 증가해 2023년 1분기 7,600억원까지 치솟았습니다.
문제는 카드론 금리가 다시 꿈틀대고 있다는 점입니다.
여신금융협회 집계 결과 7개 전업 카드사의 5월 카드론 평균 금리는 14.12%입니다. 조달 금리가 안정화되면서 하락세가 이어졌지만 3,4월 이후 다시 14%대로 올라섰습니다.
이는 저축은행 등 타 업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중저신용자들이 카드론으로 유입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여기에 카드사들의 자금 조달 비용인 여신전문금융회사채 금리도 높아지고 있는 점도 금리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한 달 전까지만 해도 3%대 후반에 머물렀던 여전채 금리가 4%대 올라선 이후 지속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카드사들의 조달 부담이 커지는 만큼 금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겁니다.
계속해서 가계부채 부실 위험 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가운데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커질 전망까지 나오면서 카드사들은 건전성 관리 방안을 더욱 고심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IBK證, 부동산 담은 AI자산진단 MTS 서비스 출시
- 한울반도체 “비트로 인수…글로벌 팬덤 비즈니스 진출”
- 키움증권, 낙인배리어 35% 글로벌지수 ELS 출시
- 키움증권, ‘제18기 고객패널’ 모집
- 신협, 임직원 참여형 ESG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 NH농협은행, 기업ERP서 금융업무 가능한 'NH임베디드플랫폼' 오픈
- 헬스케치, ‘스타브랜드 대상’ 헬스케어 빅데이터 플랫폼 부문 대상 수상
- NH농협은행, ‘코리아 핀테크위크 2025’서 AI 금융서비스 선봬
- 삼성 '청년희망터' 4기 성과공유회 개최
- KB국민은행, DHL코리아와 금융·물류 시너지 창출 업무협약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IBK證, 부동산 담은 AI자산진단 MTS 서비스 출시
- 2LG전자, 주주환원 2000억원 추가 투입… 재무구조도 개선
- 3티오더스테이, KT와 AI 호텔 서비스 이관 및 고도화 협약 체결
- 4뚜레쥬르, 디즈니코리아와 '주토피아2' 테마 신제품 3종 출시
- 5한울반도체 “비트로 인수…글로벌 팬덤 비즈니스 진출”
- 6키움증권, 낙인배리어 35% 글로벌지수 ELS 출시
- 7에이블리, 브랜드 카테고리 거래액 역대 최고치 기록
- 8키움증권, ‘제18기 고객패널’ 모집
- 9황준경(LG전자 홍보 책임)씨 부친상
- 10BC카드, AI·디지털 결제 기술로 해외 금융시장 진출 가속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