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보다 '바꾸기'…은행들 영업점 변신 활발

[앵커]
그간 디지털 전환에 따라 은행들이 영업점인 점포 수를 급격히 줄여간다는 소식, 자주 접해보셨죠. 하지만 최근 들어선, 점포 감소세가 주춤하고 은행들이 잇따라 탄력·특화 점포를 적극적으로 개설하는 등 분위기가 달라진 모습인데요,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저녁 6시에 퇴근하는 직장인도 ‘디지털라운지’에서 직원과 화상통화로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은 어제(18일)부터 ‘이브닝플러스’ 점포를 전국 4곳에서 10곳으로 확대했습니다.
이브닝플러스 영업점에선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이전처럼 대면 창구 업무를 볼 수 있고, 4시부터 8시까지는 디지털데스크를 통해 화상통화로 상담·금융 업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9시부터 4시까지의 통상적인 영업시간을 벗어난 ‘탄력점포’ 개설엔 KB국민은행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국민은행은 오후 6시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9to6 뱅크’와 오픈·마감시간을 늦춘 ‘애프터 뱅크’를 운영 중입니다.
9to6 뱅크는 지난달 10곳이 추가돼 82곳으로 늘어났습니다.
운영시간 유연화 뿐 아니라, ESG를 결합한 ‘특화 점포’도 눈에 띕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검단신도시 지점에 임산부 휴게실과 수유실 등을 갖춘 ‘하나 맘케어 센터’를 조성했습니다.
우리은행도 지난달 서울 화곡동에 ‘시니어플러스 영업점’ 3호점을 열며,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은행들이 이같은 변화를 확대하면서 빠르게 진행됐던 '점포 수 줄이기'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오늘(1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집계를 보면 급격했던 점포 감소폭이 점차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한 분기에 100곳 넘게 줄었던 점포 수는 올 1분기엔 37곳 주는데 그쳤습니다.
여기에 당국의 점포 폐쇄 조건 강화 조치와 더불어, 외환 서비스, 펀드 판매 등 대면 서비스가 필수인 업무가 적지 않기 때문이라는게 은행권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디지털 전환에도 점포에 대한 니즈는 여전히 존재하는 가운데, 다양한 소비자 수요를 반영한 점포들이 앞으로도 활발히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민세원입니다. /yejoo0502@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바이낸스 고팍스 인수 가시화…코인 거래소 판도 바뀌나
- “스타벅스 말고 올리브영”…상권의 ‘앵커’가 바뀌고 있다
- “벌점 42점 한 번에”…불성실공시법인 지정된 부실 상장사
- 하나금융, 5년간 100조 투입…금융 대전환 선봉에
- 10만전자·50만닉스 눈앞…투톱 시총 1000조 시대 여나
- 원자력 르네상스 온다…한화운용 원자력 ETF 수혜 전망
- [부고] 선창훈(한양증권 자본시장1부 상무)씨 부친상
- 코아스, 부실기업만 골라 출자? 수상한 투자 행보
- 케이쓰리아이, '재팬 IT 위크' 참가…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 대진첨단소재, 37년 경력 전문가 '김기범 신임 대표이사' 선임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스타벅스, 패션 플랫폼과 손잡고 고객 접점 넓힌다
- 2한국마사회, 부패방지 및 규범준수 경영 인증 3년 연속 유지
- 3한국마사회, 경주마 유전능력평가 서비스 '마이K닉스' 시행
- 4세븐일레븐, 한부모가족 응원 위한 2025 모두하나대축제 참여
- 5GS25, ‘건강기능식품’ 흥행 가도…’밀리언셀러 등극 눈앞’
- 6LG, '디오스 AI 오브제컬렉션 김치톡톡’ 출시
- 7SKT, 국제사회와 책임 있는 AI 논의 확대
- 8쿠팡, 가을맞이 ‘세일 페스타’…15개 카테고리 6만여개 상품 선봬
- 9‘롯데 러브 패밀리 페스티벌’ 성료
- 10제주항공, 20개 협력사와 지속가능 간담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