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보다 '바꾸기'…은행들 영업점 변신 활발

[앵커]
그간 디지털 전환에 따라 은행들이 영업점인 점포 수를 급격히 줄여간다는 소식, 자주 접해보셨죠. 하지만 최근 들어선, 점포 감소세가 주춤하고 은행들이 잇따라 탄력·특화 점포를 적극적으로 개설하는 등 분위기가 달라진 모습인데요,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저녁 6시에 퇴근하는 직장인도 ‘디지털라운지’에서 직원과 화상통화로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은 어제(18일)부터 ‘이브닝플러스’ 점포를 전국 4곳에서 10곳으로 확대했습니다.
이브닝플러스 영업점에선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이전처럼 대면 창구 업무를 볼 수 있고, 4시부터 8시까지는 디지털데스크를 통해 화상통화로 상담·금융 업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9시부터 4시까지의 통상적인 영업시간을 벗어난 ‘탄력점포’ 개설엔 KB국민은행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국민은행은 오후 6시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9to6 뱅크’와 오픈·마감시간을 늦춘 ‘애프터 뱅크’를 운영 중입니다.
9to6 뱅크는 지난달 10곳이 추가돼 82곳으로 늘어났습니다.
운영시간 유연화 뿐 아니라, ESG를 결합한 ‘특화 점포’도 눈에 띕니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검단신도시 지점에 임산부 휴게실과 수유실 등을 갖춘 ‘하나 맘케어 센터’를 조성했습니다.
우리은행도 지난달 서울 화곡동에 ‘시니어플러스 영업점’ 3호점을 열며,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은행들이 이같은 변화를 확대하면서 빠르게 진행됐던 '점포 수 줄이기'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오늘(1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집계를 보면 급격했던 점포 감소폭이 점차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한 분기에 100곳 넘게 줄었던 점포 수는 올 1분기엔 37곳 주는데 그쳤습니다.
여기에 당국의 점포 폐쇄 조건 강화 조치와 더불어, 외환 서비스, 펀드 판매 등 대면 서비스가 필수인 업무가 적지 않기 때문이라는게 은행권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디지털 전환에도 점포에 대한 니즈는 여전히 존재하는 가운데, 다양한 소비자 수요를 반영한 점포들이 앞으로도 활발히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민세원입니다. /yejoo0502@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상장사 작년 영업익 62% 급증…흑자기업도 증가
- 화재보험협회, 대형산불 피해 복구 성금 2000만원 기부
- 미래에셋證, ‘채권 투자와 예술의 만남’ 마스터스 아카데미 개최
- 하나금융그룹, 미얀마 지진 피해 복구 1억원 긴급 지원
- iM뱅크, 경북신용보증재단과 ‘경북도 상생금융지원’ 협약
- 웰컴저축은행, ‘아시아디자인 프라이즈’ 커뮤니케이션 부문 3관왕
- 광주은행, ‘광주화루 공모전’ 시상식 개최
- NH농협은행, ‘고객중심 자산관리 포럼’ 개최
- 우리銀, 일산 전통시장과 60호 장금이 결연
- 신한은행, 2025 영 아티스트 페스타 '섬광 FLICKER’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 문화산업진흥지구 지정 추진…광한루원·함파우 일대 전략평가 착수
- 2전북자치도, '김관영호' 도정혁신 시즌4 본격 가동…민생 아이디어 154건 발굴
- 3전북소방본부, 부처님오신날 앞두고 전통사찰 화재 특별대책
- 4업체 '법카' 사적 사용한 임미란 광주시의원 불구속 송치
- 5고흥군, 녹동항 드론쇼 개막식 일주일 연기
- 6남원시립국악단, 4일 월궁광장서 ‘벚꽃음악회’ 개최
- 7대광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전북 교통차별 27년 만에 해소
- 8코스피 상장사 작년 영업익 62% 급증…흑자기업도 증가
- 9목포시, 유달산 마라톤 대회 6일 개최…교통통제
- 10남원시, 드론레이싱 교육 시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