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 56조원…손실시 시스템 영향 제한적"

[서울경제TV=최재영 기자] 우리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관련 투자 금액은 55조8,000억원(잔액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의 0.8% 수준으로 향후 국외 부동산 손실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금감원은 판단했다.
10일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권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올해 6월말 기준으로 55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현재 규모는 금융권 총자산(6,762조5,000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8% 수준이다.
업권별로는 보험이 31조7,000억원으로 전체 비중의 56.9%를 차지헀다. 이어 은행이 9조8,000억원(17.5%), 증권사가 8조3,000억원(15.0%), 상호금융은 3조7,000억원(6.7%), 여전사는 2조1,000억원(3.8%), 저축은행은 1,000억원(0.2%)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5조8,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은 11조원, 아시아는 4조2,000억원, 기타 및 복수지역은 4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만기별로는 2024년까지가 14조1,000억원, 2030년까지는 43조8,000억원이다.
이와 함께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금액은 1조3,300억원으로 조사됐다. 다만 EOD가 발생한 사업장은 장기 임대계약 등 수익성 유지시 대출 조건조정과 만기연장, 재구조화(대주변경, 출자전환 등)를 통한 사업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금감원은 보고 있다.
금감원은 "자산 매각 발생시 투자 순위에 다라 전약 혹은 일부 투자금 회수 가능성이 있다"며 "일부 EOD 자산의 경우 국내 투자자가 선순위 투자자여서 손실 가능성이 적다"고 말했다.
이밖에 올해 6월말 기준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자산 가운데 유가증권은 45조7,000억, 대출채권은 10조1,000억원이다. 이 중 누적평가 손익은 마이너스(-)2.38%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팬데믹 이후 선진국의 재택근무 정착과 고금리 지속 등으로 해외 부동산시장 위축 장기화시 금융회사 손실 확대 가능성이 제기됐다"며 "국내 금융회사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비용 규모는 1%미만으로 크지 않고, 자본비율도 양호해 손실흡수능력을 감안하더라도 문제시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성파인텍-모노리스, AI 기반 '태양광 발전 시스템' 상용화
- 신한은행, 법률구조공단에 17억여원 후원금 전달…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 SC그룹 퓨처메이커스 프로그램 참여…아시아 청년 실업 문제 해결 나선다
- NH농협은행, 무료 급식소 배식 봉사·쌀 후원 실시
- 코빗, 신한은행 앱에 시세 정보 및 콘텐츠 제공
- iM금융그룹, 라오스 교육환경 개선 사업 진행
- 에이루트 子 NSRC, 대만 반도체 기업 핵심 장비 수주
- 우리은행, 기업자금관리 서비스 WIN-CMS 전면 리뉴얼
- 신한은행, 은행권 최초 가상자산 전용 페이지 오픈
- 케이지에이, 쉐메카와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 특허 출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성파인텍-모노리스, AI 기반 '태양광 발전 시스템' 상용화
- 2해남군, 2026년 한·중·일 고구마 국제워크숍 개최로 산업 교류 확대
- 3롯데 신동빈, '하반기 VCM' 주재..."CEO 리더십" 강조
- 4장성군, 여름 ‘청레몬’ 출하 시작…'젊음 선사하는 과일'
- 5마사회, 여름철 경주로 관리 총력…무더위 속 안전 최우선
- 6이재용 무죄 판결에 중소기업계 환영…"경제회복 기여 기대"
- 7마사회, '찾아가는 문화센터’ 확대…아동복지시설과 협약
- 8한국마사회, '제53회 한일 승마대회' 성료
- 9신안군 농산물가공센터, 초등학생 대상 체험 교육 마무리
- 10"감 대신 수학으로 경마"…기댓값·켈리 공식 베팅 전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