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헌 의원, “유명무실한 군무원 5급 공채, 10년 동안 공개채용‘0건’”
매년 군무원 정원 증가하고 있지만, 軍출신 경력채용만 독점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국민의힘 임병헌 의원(대구 중구·남구/국방위원회)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군무원 채용 및 운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방부는 최근 10년간(2013년부터 2023년 9월) 단 한 번도 5급 군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을 시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방부는 2007년 공개경쟁채용시험을 통해 5급 군무원 19명을 채용한 이후 2012년까지 총 65명의 5급 군무원을 채용했다.
그러나 2013년부터 2023년 9월까지 무려 10년간 5급 군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공고가 단 한 건도 없었다.
국방부는 그동안 병역자원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상비병력을 50만 명 수준으로 감축하면서 비전투분야 직위는 군무원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군무원 정원은 2018년 2만6,919명, 2019년 3만1,655명, 2020년 3만4,928명, 2021년 4만295명, 2022년 4만4,859명으로 해마다 늘었다.
현재 군무원 채용시험은 별다른 경력을 요구하지 않는 ‘공개’경쟁채용시험과 관련 경력을 필요로 하는 ‘경력’경쟁채용시험 두 종류로 구분되고 있다.
그런데 군무원 정원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5급 군무원은 軍 경력자 위주로만 채용하고 있다.
실제로 임병헌 의원이 각군으로부터 제출받은 ‘각군별 군무원 근무 현황’을 살펴보면, 올해 8월 기준 육·해·공 2급 군무원 총 25명 가운데, 육군의 83.3%, 해군과 공군은 100%가 전직 영관 장교 출신으로 밝혀졌다.
또한, 3급 군무원의 경우도 공군의 경우 49명 중 42명이 전직 영관장교 출신이다.
임병헌 의원은 “우리 軍이 국방혁신을 추구하며 군무원의 정원을 늘려가고 있는데, 5급 공채의 문이 굳게 닫힌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면서 “국방혁신과 효과적인 軍 선진화를 위해서는 군무원 채용과 운용방식 전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연꽃과 불꽃의 향연…'당진합덕연꽃축제' 개막
- [문화 4人4色 | 전승훈] 사과는 사람을 먹을 수 있을까
- [기획 | 심덕섭호 3년] 고창군, 성장의 궤도에 올라타다
- 고창군, 국가보훈부 우수기관 표창…"보훈문화 확산 기여"
- 고창군, 발효·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준공…'김치특화 농생명산업지구 핵심'
- 경주상공회의소, 2025 상공대상 시상식 성료…APEC 성공 개최 의지 다져
- 포항교육지원청, 등굣길 마약예방 캠페인 실시
- 영천시, 귀농인 전국 1위...귀농 정책 결실
- 포항시의회 건설도시위원회, 주요사업 현장방문 실시
- 김천교육지원청, '독도수호 나라사랑’ 독도체험 탐방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