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지오센트릭, 세계 최초 ‘플라스틱 재활용 단지’ 첫 삽

[앵커]
SK지오센트릭이 오늘(15일) 울산 석유화학단지 내에 플라스틱 재활용 종합단지 기공식을 열었습니다. 세계 최초로 한곳에서 폐플라스틱을 새로운 자원이나 제품으로 만드는 시설인데요.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새로운 자원으로 만드는 곳.
SK지오센트릭이 울산에 세계 최대 규모의 플라스틱 재활용 생산 단지(ARC·Advanced Recycling Cluster)를 건설합니다.
[싱크] 나경수 / SK지오센트릭 사장
“플라스틱을 쓰면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다시 원료로 만들어 쓰게 하고, 또 더 나아가 고기능, 고부가가치 플라스틱을 통해 사람들이 같은 기능을 가지고 더 적은 양의 플라스틱을 사용하게 하는 것…”
이곳은 축구장 22개 넓이인 21만5,000㎡ 부지에 2025년까지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인 열분해, 고순도 폴리프로필렌(PP) 추출, 해중합을 한 곳에서 구현하는 복합 재활용단지입니다. 이 같은 재활용 기술을 한데 모은 단지는 세계 처음입니다. SK지오센트릭은 이 단지 건설을 위해 총 1조8,000억원을 투자합니다.
오는 2026년 이 단지가 가동되면 매년 폐플라스틱 32만톤이 새로운 자원으로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약 7,000억원의 매출과 2,500억~3,000억원 정도의 영업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K지오센트릭은 깨끗하고 무색인 플라스틱을 원료로 삼는 기존의 기계적 재활용 방식을 넘어 모든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해 글로벌 재활용 기업 루프(LOOP)와 PCT, 플라스틱에너지사와 협업을 통해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특히, 환경 규제로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를 넣어 제품을 생산해야 하는 해외 기업들이 SK지오센트릭과 계약을 맺고 있습니다. 현재 글로벌 포장재 기업인 암코 등과 협력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생산될 물량의 약 30% 수준은 선판매 됐습니다.
SK지오센트릭은 글로벌 파트너사와 플라스틱 재활용 생산 단지를 해외로 확장할 계획도 가지고 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루프(LOOP), 현지 환경기업 수에즈와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고,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와 중국, 아시아 등지에 플라스틱 재활용 생산 단지 건설도 검토 중입니다.
[스탠딩]
“SK지오센트릭은 폐플라스틱을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해 환경 보호 기여와 미래먹거리 발굴 두 가지를 모두 잡겠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영상취재 오승현 /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기부, 백년소상공인 신규 선정…"글로벌 성장 지원"
- LH, 올해 공공주택 10만가구 승인…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 국토부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추가 인상"
- 쿠팡, 우수 PB 중소협력사 시상식 개최
- 챗GPT 국내 주간이용자 200만 넘겨
- 기재1차관, 26∼27일 G20회의 참석…경제협력 논의
- 산업부, 연구개발·기술사업화 장비구축에 2400억원 투자
- 여야 '5월 조기대선' 가능성에 '고심 VS 본격화' 대응
- KT, 에이블스쿨 잡페어…“실무 역량 갖춘 AI 인재 채용"
- KT, MWC 2025 참가…대한민국 AI 기술력 알린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중기부, 백년소상공인 신규 선정…"글로벌 성장 지원"
- 2LH, 올해 공공주택 10만가구 승인…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 3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4국토부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추가 인상"
- 5쿠팡, 우수 PB 중소협력사 시상식 개최
- 6챗GPT 국내 주간이용자 200만 넘겨
- 7기재1차관, 26∼27일 G20회의 참석…경제협력 논의
- 8박균택 의원, 시민과 소통강화 '광산 동네한바퀴' 민생탐방 '눈길'
- 9전남도, 독특한 매력 지닌 이색 회의장소 ‘유니크베뉴’ 공모 나서
- 10광주 명품 특산물 ‘무등산 수박’, 옛 명성 되찾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