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중국 전기차 시장 성장 전망…가격 경쟁력·충전 인프라 갖춰”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한국무역협회(무협)은 정만기 부회장이 전기차‧배터리 관련 10개 기업 15명으로 구성된 ‘중국 전기차‧이차전지 시찰단’과 함께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중국 선전, 항저우, 상하이, 옌청을 방문한다고 23일 밝혔다.
사절단은 중국의 대표적인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업체인 BYD, EVE, 거린메이(GEM, Green Eco Manufacturing), 지리자동차를 방문하고, 고위급 면담과 B2B 비즈니스 상담을 진행한다.
상담회를 통해 중국 현지 기업의 경영층 및 구매 담당자를 직접 만나 우리 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혁신 역량, 생산 품목‧생산 역량을 소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부품 납품, 기술 협력, 전략적 제휴 등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배터리·파워 트레인·차량 반도체·전자 기기 등 전기차 관련 자회사를 여럿 보유하고 있는 BYD는 이번 상담회를 계기로 사절단 참가 기업과 부품 조달‧기술 협력 등 다방면의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한편 정만기 부회장은 중국 자동차‧배터리 기업 임원과의 별도 면담을 진행하고, 중국 전기차 시장 동향 및 한국 기업과의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뤄홍빈 BYD 부총재와의 면담에서 정 부회장은 “최근 각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삭감, 충전 불편 어려움 지속, 일부 전기차의 화재 발생, 글로벌 자동차 수요의 전반적 위축 등으로 세계적으로 전기차 수요와 판매가 정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중국의 향후 전기차 시장 전망에 대해 문의했다.
뤄 부총재는 “취득세 제외 등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제공 중단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전기차 시장은 지속 성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 근거로 “ BYD가 생산하는 하이오우(海鸥) 모델의 경우 차량 가격은 한화 1,300만 원(7만 3천 위안) 수준, 한 달 충전비는 한화 5천 원 미만에 불과해 내연 기관차 대비 운영 유지비를 포함한 가격 경쟁력이 매우 높다는 점을 내세웠다.
또한, 한국과 달리 중국의 경우 아파트 주차장 내 세대별 주차 공간이 대부분 지정되어 있고 전용 충전기가 설치되어 있어 전기차 충전의 95% 이상이 가정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이어 BYD의 경우 리튬 인산철 기반 블레이드 배터리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어 화재 위험이 거의 없는 점“ 등을 제시했다.
그는 “이런 이유로 BYD의 전기차 생산량은 2019년 27만 대 수준에서 2023년 300만 대로 증가하였으며, 내년에는 400만 대에 육박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뤄 부총재는 시장 수요 팽창 이외의 BYD의 빠른 성장 원인에 대해, “BYD의 급성장은 근본적으로 혁신적 R&D와 부품 조달 체제의 개선에 기인한다”면서 “부품 조달의 경우 과거 협력 업체 지정 제도에서 최근엔 등록·인증 업체의 입찰 경쟁 제도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BYD 등록·인증 업체 선정은 BYD 구매 부서가 후보 업체에 대한 기술과 재무 역량, 대규모 공급 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이루어지나, 실제 부품 조달은 부품별로 수많은 등록 업체 중 치열한 입찰 경쟁을 통해 이루어져, 가격과 기술 혁신 경쟁력 모두를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뤄 부총재는 한국 부품 업체와의 향후 협력과 관련하여 “BYD는 각국 완성차 업체의 모터 수요 증가로 2024년에만 6백만 대 이상의 모터를 생산할 계획”이라면서 “한국 기업은 모터용 철강 소재와 관련하여 최적의 기술과 생산기술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이 분야를 중심으로 한 협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무협의 상담회 지속 추진 등 역할 확대를 요청했다.
사절단은 중국 배터리 시장 점유율 4위인 EVE를 방문하여 알렉산더 홀든(Alexander Holden) 수석 부회장과 비즈니스 상담회를 진행했다.
EVE의 알렉산더 홀든 수석 부회장은 “생활용 건전지 사업에서 시작한 EVE는 현재 전기차용 배터리뿐만 아니라 ESS, 통신‧전자 제품, 선박, 철도 기관차용 배터리를 공급하며 2023년 매출액은 2018년 대비 8배 이상 성장했다”며 “이러한 성장은 EVE의 개방과 혁신 전략에 기인했으며, EVE는 현재 SK온 등 한국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많은 한국의 부품 업체들과의 협력 기회를 확대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그는 “EVE의 배터리 공장 설비는 대부분 한국의 중견 배터리 장비 제조업체로부터 조달하여 구축되었다”고 면서 배터리 장비 분야의 협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필립스옥션, 런던서 '뉴나우 근현대 미술 경매' 개최
- '자본시장법 위반' 김상철 한컴그룹 회장 1심 벌금형
- 소상공인연합회 "헌재 결정 존중…경제 살리기 매진하길"
- 한국AX마케팅협회,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 참여
- 신세계그룹 브랜드 총출동 ‘랜더스 쇼핑페스타’ 개막
- KFC 코리아, 국내 타코벨 개발·운영권 확보
- 재계 "헌재 결정 존중…경제 회복에 힘 모아야"
- 법원, 명품 플랫폼 '발란' 회생절차 개시 결정
- ’배민’ 우아한형제들, 지난해 영업이익 6408억원…전년比 8.4%↓
- 중소기업계, 헌재 결정에 입장 발표 "새 성장 계기 되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 춘향제 3차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 2남원시, 옥상 비가림시설 '이행강제금 완화'로 시민 부담 경감
- 3영덕군의회, ‘대형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건의
- 4배민우 민주당 청년위원장, '尹파면 촉구' 단식 5일 만에 병원 이송
- 5iM뱅크(아이엠뱅크), ‘산불 피해 복구 기부 릴레이’ 실시
- 6오성기공,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 내 건설장비부품 생산시설 건립
- 7영덕군의회, 산불피해 복구 성금 기탁 줄이어
- 8김광열 영덕군수, 산불 피해 지원 대책 설명회 가져
- 9대구경북병무청, ‘20세 검사 후 입영’ 신청 접수. . .조기 사회 진출 기회 확대
- 10김영록 전남지사 "국민 승리…민생경제 회복에 전념할 것"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