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취약계층에 1.26조원 요금감면…“주요국 대비 현저히 높아”
요금 35~50% 감면…인구 대비 감면자 비율 최대 2만배
국내 산업 중 통신산업, 최대 취약계층 요금감면 규모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가 지난해 취약계층과 국가유공자의 통신요금 1조2,604억원을 감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는 통신 4사가 지난해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과 국가유공자를 대상으로 통신요금을 35~50%까지 감면해 왔다고 12일 밝혔다.
지난해에는 776만명을 대상으로 1조2,604억원의 통신요금을 감면했다. 이는 2017년 4,630억원 대비 약 2.7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통신4사는 2000년부터 통신요금을 35~50%까지 감면하고 있다. 감면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국가유공자에서 2008년 차상위계층, 2017년 기초연금 수급자로 확대했다.
서비스 감면 범위 역시, 유선전화·이동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 등의 서비스까지 포함한다.

[사진=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특히 통신산업은 2021년부터 3년 연속 1조 원이 넘게 취약계층 요금감면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0.2조), 전기(0.7조)와 같은 주요 산업 대비 약 2~5배까지 큰 수준이다.
전체 인구 대비 감면자 비율 역시 우리나라가 14.9%로 미국 2.2%, 스페인 0.0007%, 프랑스 0.0008%에 비해 최대 2만배 이상에 달하는 수준이며, 요금감면 금액를 비교해 봤을 때 스페인보다 89배, 프랑스보다 191배 수준에 달한다.
최근 디지털 접근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며 취약계층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도 통신 요금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는 만큼 국내 통신사들 역시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통신사 관계자는 “취약계층 감면에 해당되지 않는 고객도 3사마다 각자 할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가족들의 서비스 이용 현황을 파악해 대리점에서 요금 컨설팅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9·7 부동산대책] 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9·7 부동산대책]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 농식품부, 계란값 우려에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최대 2년 늦춰
- 쿠팡 "입점 소상공인,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업체 1만개 넘어"
- LG, '에이머스 해커톤' 대회 개최…상위 3개팀에 입사 시 혜택
- 대한항공, '보잉777-300ER 항공기' 이코노미석 배열 개조 철회
- 스타벅스, '하반기 바리스타 공개 채용'…14일까지 접수
- LPG협회-르노코리아, 'LPDi 하이브리드차' 양산 개발 위한 MOU 체결
- LG엔솔 인사책임자, 美구금 현장 대응 위해 출국…"조기 석방이 최우선"
- 카카오, AI 네이티브 비전 공개…"AI는 기능 아닌 운영체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2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3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4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5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6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7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8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9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10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