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텍, 영국 아그리민과 메탄캡슐 구매계약 체결…“수출 확대”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창업 2년차인 가축 메탄가스 연구전문 스타트업 메텍홀딩스(MeTech·메텍)이 영국 아그리민(Agrimin Limited)과 메텍이 개발한 메탄캡슐(Methane Capsule)로 ‘영국내 가축온실가스 문제를 해결키 위한 공동연구’ 계약과 함께 메탄캡슐 1차분 POC(실물 테스트용)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영국 아그리민은 세계 최초로 반추동물을 위한 식이보완사료 볼루스(Bolus) 캡슐제품을 생산하는 축산전문 글로벌기업이다. 1978년에 설립된 후 영국 링컨셔(Lincolnshire)에 본사를 두고 있다. 가축 영양 보충제에 대한 입법 기반을 찾기 위해 EU 사료 법안을 형성하는 데 앞장서 온 대표적인 기업으로 유명하다.
박찬목 메텍 대표는 “아그리민과 영국내 가축들의 메탄가스 포집, 측정 및 저감 시장에 공동으로 진출할 계획이다”라며 “특히, 아그리민과는 메탄캡슐로 호주 및 뉴질랜드 시장에도 공동 진출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영국정부는 탄소포집 시장을 구축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200억 파운드(한화 35조원) 투자계획을 발표할 정도로 탄소포집에 굉장히 관심이 높은 나라다. 영국의 축산 농가들은 절감한 탄소의 탄소배출권을 다른 업계(정유 혹은 제조업계)에 판매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특히, 영국정부는 탄소포집 기술 개발을 통해 전반적인 탄소포집 생태계를 활성화할 장기전략을 가지고 있어, 메텍의 메탄캡슐이 더욱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소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매우 심각하다.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가축이 배출하는 메탄가스는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의 25%를 차지해, 자동차 등 모든 교통수단의 배출가스 13.5%보다 훨씬 영향이 크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20배 이상 강력한 온실가스이며, 열기를 가두는 능력은 최대 80배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박 대표는 “영국 아그리민과 함께 메탄캡슐로 영국내 가축온실가스 문제를 해결키 위한 POC(실물테스트)에 곧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메텍은 미국 농무부(USDA), 미국 아르키아바이오(Arkea Bio), 브라질 엠브라파(Embrapa, 브라질 농업협력청) 1차 연구기관인 텐덴시아 아그로네오지오스(Tendência Agronegócios), 호주 루민8(Rumin8), 네덜란드 로열 아그리펌 그룹(Royal Agrifirm Group)에 이어 영국과도 계약이 이루어져 5개국에 메탄캡슐을 수출하게 됐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제 2의 성수 되나?”…광장시장, MZ·외국인 ‘놀이터’ 되다
- 불황 속 ‘가성비 PB’ 인기…CU, 글로벌 유통 확대
- 전시장의 변화…르노코리아 “車 판매 넘어 일상 공간으로”
- 정기선 HD현대 회장 승진…‘3세 경영’ 본격화
- 삼성, 美 그레일에 1550억 베팅…헬스케어 강화
- 네이버, 로봇 산업 광폭 행보…피지컬 AI 실현할까
- [단독] 현대엔지 플랜트본부 구조조정?…“1000여명 유급 휴직”
- '르엘 어퍼하우스' 프라이빗 멤버십, '카펠라 더 클럽' 오픈
-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사망사고 깊이 사과"…"안전관리 전면 재점검"
- 청소년 국제환경연대 대통령실에 서한…“낙동강 오염 해결해 주세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달성군, 2025 청소년 축제 개최…‘달성의 빛날 미래, With Youth’
- 2달성군, 생활권 맞춤 가로수 전정으로 거리 미관 개선
- 3대구 달성군, 출산·양육가구 주택 취득세 최대 500만원 감면
- 4달성군, 추석 연휴 ‘응급진료체계’ 가동…의료 공백 없는 안정적 진료체계 구축
- 5대구시, ‘2025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대구국제포럼’ 개최…세계 15개국 문화도시 한자리에
- 6대구시, 경력단절여성 위한 ‘찾아가는 여성일자리 굿잡(Good Job)’ 운영
- 7대구시, 한·독·일 협력 ‘데이터 스페이스 공동관’ 운영…글로벌 데이터 산업 허브 도약
- 8대구시, 11월 5일 ‘대구도서관’ 정식 개관…첨단 ICT 도입한 스마트 문화공간으로 탄생
- 9대구시, AI로봇 수도로 도약…‘2025 대구국제로봇산업전’ 22일 개막
- 10대구시, 공유재산 임대료 최대 50% 인하…소상공인·중소기업 지원 나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