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물류 자산 면적 여의도 1.4배
물류센터 및 터미널 등 1,130만㎡ 보유 ‘국내 최대’
스마트 패키징·디지털트윈 등 첨단 기술도 지속 투자
![](/data/sentv/image/news/2024/07/11/1720664130.png)
[서울경제TV=김민 인턴기자] CJ대한통운이 최근 신세계그룹을 비롯한 여러 기업들의 물류를 유치한 배경에 국내 최대 물류영업 자산이 큰 몫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전국 각지에서 운용하는 보유 및 임차 물류센터와 택배 터미널, 그외 사업장 부지와 건물 면적 총합이 전국 7백여개소, 약 1,130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물류기업 최대 규모로 축구장 1,600개를 합친 것과 맞먹는 크기이며 여의도 면적의 1.4배 수준이다.
CJ대한통운은 94년간 물류업 외길을 걸어온 전문기업으로 충실한 물류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주요 내역으로 전국 각지의 3자물류 인프라가 있다. CJ대한통운은 소비재, 유통, 제약, 패션뷰티, 이커머스 등 5개 산업군별 기업에 3자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에 195개의 물류허브와 거점센터들을 운영 중이다.
또한 촘촘한 택배 인프라도 갖고 있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곤지암메가허브를 비롯한 14개의 허브터미널과 276개의 서브터미널을 운영한다. 최근 소형택배 분류 전문시설인 안성MP허브 등도 구축했다. 또 작년 신규가동한 이천과 용인 풀필먼트센터 3개소 등 이커머스 관련 시설도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같은 전국적인 인프라와 물류 전반에 걸친 사업역량 덕택에 기업간 물류(B2B), 소비자 배송(B2C)은 물론 전과정에 걸친 풀라인업 서비스(B2B2C)까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연평균 5백억원 가량의 무형자산 투자를 집행하는 등 기술투자에도 남다른 관심을 지속하고 있다. 실제 스마트 패키징, 물류현장 디지털트윈 등 다양한 첨단기술의 개발은 이같은 무형자산 투자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CJ대한통운 인프라 투자 전략의 핵심은 미래를 내다본 대표적 사례가 2016년 ‘곤지암 메가허브터미널’ 착공이다. 곤지암 메가허브는 코로나19로 유통업체 주문량이 20% 이상 급증했을 당시 이를 무리없이 소화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처리한도를 초과한 타 유통사와 택배사 물동량까지 CJ대한통운으로 넘어올 정도여서 당시 업계에서 “곤지암 메가허브가 2018년 문을 안열었으면 사재기현상을 못 막았을것”이란 말까지 나왔다. 압도적 택배 인프라로 유통혁명을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에도 기여한 셈이다.
3자물류 분야에서도 일찍부터 산업군별 상품 특성에 맞춰 차별화된 운영역량을 갖추는데 집중했다. 소비재산업군에 대한 상온, 냉동, 냉장 등 서로 다른 온도대별 하역 및 배송,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제약 특화 전용물류체계 구축 등이 예다. 특히 자체 TES물류기술연구소가 주도하는 자동화된 상품 분류시스템, 물류센터 관제, 스마트 패키징 등 첨단화는 업계 최고 수준이다.
빅데이터, 인공지능(AI)와 물류로봇 등 첨단기술과 설비를 갖춘 풀필먼트 센터 확충도 같은 맥락이다. 이커머스 셀러들이 고효율 물류를 통한 비용합리화에 집중할 것을 내다본 앞선 투자를 진행했다. 특히 국내 최대 택배사업자라는 강점에 기반한 고유의 '융합형 풀필먼트' 서비스는 소비자 주문마감 시간을 대폭 연장시켰다. CJ대한통운은 주문마감시간을 최대 오후 12시까지로 정했다. 이커머스 셀러들은 큰 자체물류비 부담없이 더 많은 소비자 주문을 접수할 수 있어 판매량과 매출 증대에 유리하다.
윤진 한국사업부문 대표는 “압도적 물류 인프라를 통한 규모의 경제와 타사 대비 3~5년 앞선 기술력에 의한 효율성 향상이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차별화된 3자물류 역량과 지속적 혁신을 통해 고객사의 성장과 소비자 편익 증대에 한층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rlaalsmin42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현대모비스, ‘무빙 스피커’ 개발…“車 실내디자인 혁신”
- KGC인삼공사 “당뇨 전단계 성인, 홍삼으로 혈당 조절”
- “최고 골프장 어디?”…서울경제 한국 10대 골프장 시상식
- “스팸·스미싱 꼼짝마”…통신3사, AI로 피해 막는다
- 강남 분상제 당첨 요건?…“4인 가구 15년 무주택”
- 수입차 판매량 2년 연속 ‘뚝’…“신차로 정면 돌파”
- ‘美 공장 건설’ 놓고 고민 깊은 철강업계
- 나델라 MS CEO 방한, AI연합 전선 확장…KT 김영섭 만난다
- KT, ‘마음을 담은 클래식’ 28일 2025년 첫 공연
- 교촌에프앤비, 지난해 영업이익 152억…전년比 38.6%↓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 기장군, 의료취약 시간대 공공심야약국 지정·운영
- 2현대모비스, ‘무빙 스피커’ 개발…“車 실내디자인 혁신”
- 3KGC인삼공사 “당뇨 전단계 성인, 홍삼으로 혈당 조절”
- 4“최고 골프장 어디?”…서울경제 한국 10대 골프장 시상식
- 5공정위, 4대 은행 LTV 담합 의혹 재조사
- 6“스팸·스미싱 꼼짝마”…통신3사, AI로 피해 막는다
- 7강남 분상제 당첨 요건?…“4인 가구 15년 무주택”
- 8수입차 판매량 2년 연속 ‘뚝’…“신차로 정면 돌파”
- 9“얼굴로 결제해요”…토스, ‘페이스페이’ 도입
- 10“돌반지 한 돈 60만원”…금값 급등에 금 펀드·ETF ‘금빛’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