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작년 15조2,000억 경제적 효과 창출”
카카오 “지난해 생산유발 효과 15조2,000억원”
카카오 메신저·모빌리티 등 3년간 생산유발 39조
“작년 일자리 5.5만 등 3년간 13.4만명 고용 창출”
톡 파트너 200만 명…“마케팅 비용 월 347억 절감”
1,800개 공공기관 알림톡…“행정 편의 높여”

[앵커]
카카오가 그룹의 기업 활동을 통한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공개했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한 혁신이 산업적으로 가지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조사였는데요. 지난해 카카오 그룹의 생산유발효과는 15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카카오 그룹이 사회적 기여도를 조사해 공개했습니다. 지난해 생산유발효과는 15조2,000억원.
생산유발효과는 특정 산업의 투자나 소비가 다른 산업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뜻합니다.
분석 기간을 3년(2021~2023년)으로 넓히면, 생산유발효과는 39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9조원대에 달합니다.
카카오 그룹은 모바일 메신저, 문화 콘텐츠, 금융,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 카카오 그룹은 같은기간 약 13만4,400명의 고용 창출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작년 고용유발효과만 따지면 약 5만3,000여명입니다.
이와 함께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등 총 10개사가 각각의 산업군 내에서 사회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60개의 지표도 공개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로 고객과 소통하는 파트너는 올해 8월 기준 200만 명.
이를 통해 절감한 마케팅 비용이 월 평균 약 347억원으로 추산됐습니다.
특히 올해 8월 기준 전국 약 1,800개 공공기관이 알림톡을 통해 행정 편의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8년 3월부터 올해 7월까지 카카오톡 지갑으로 발송된 전자문서는 4억7,000건에 달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hyk@sea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마비노기 모바일, 콘진원 상반기 ‘이달의 우수게임’ 수상
- CU, 행정안전부와 광복 80주년 기념 기부 캠페인 전개
- GTX-C · 7호선 연장 수혜…서울 접근성 높아진 양주, 신흥 주거지로 급부상
- SKT 에이닷, 최신 AI 기법 적용한 신규 버전 출시
- 해탄, '쌀 기부'…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따뜻한 출발
- KT,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보안기능확인서 획득
- 세븐일레븐 뉴웨이브 모델, 공모전 ‘K디자인어워드’ 위너 수상
- 우아한청년들, 고용노동부와 ‘배달안전365 캠페인’ 진행
- 넷마블, 대학생 서포터즈 ‘마블챌린저’ 24기 모집
- 롯데웰푸드, 육군본부와 업무협약 체결…5년째 이어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