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농기계 업계 최초 CES 참가…삼성전자와 고객 체험 확대
경제·산업
입력 2025-01-09 10:35:48
수정 2025-01-09 10:35:48
고원희 기자
0개
다기능 농업로봇·정밀농업·AI 식물 재배기 등 해외 선봬

[서울경제TV=고원희 인턴기자] 미래농업 리딩 기업 대동은 오는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열리는 CES 2025에 자사 AI 식물 재배기의 글로벌 고객 경험을 위해 대동 부스 운영과 함께 삼성전자와 협업해 삼성 부스에서도 제품을 전시했다고 9일 밝혔다.
대동은 이번 CES 2025에 국내 농기계 업체 중에는 처음 참가해 'AI to the field’를 콘셉트로 부스를 꾸리고 첨단 AI 기반의 ▲다기능 농업로봇 ▲정밀농업 ▲AI 식물 재배기 등을 해외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지난 2020년 미래농업 리딩 기업 비전 선포 후 농업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AI 농업 기술을 개발해 온 대동이 이번 CES 2025에서 자사의 AI 미래농업 청사진을 공개한 것이다.
CES 2025 혁신상을 받은 대동의 AI 식물 재배기는 AI와 농업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식물을 수확할 수 있게 하는 제품으로, AI S/W가 내장된 카메라로 씨앗 캡슐을 인식해 식물 별 온·습도, 조도, 배양액 등의 재배 환경을 자동 제어한다. 생육 상태를 분석해 수확 시기도 예측 가능하다. 특히 대동이 품종 개량 연구를 통해 작물의 기능성 성분을 극대화한 일반 및 기능성 작물 또한 AI 식물 재배기를 통해 소개한다.
대동의 AI 식물 재배기는 이번 CES 2025 삼성전자 부스 내 케어존에서 바질, 메리골드 등의 식물이 재배된 상태로 전시되어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대동 측은 AI 식물 재배기가 '스마트 파밍' 기술로 특별한 지식 없이도 누구나 가정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스마트홈 기기의 하나로 가정에서 개인 건강 맞춤 식물을 수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삼성전자가 추구하는 고객 라이프 스타일 맞춤 통합 연결 경험 확장과 부합해 전시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대동은 향후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AI 식물 재배기를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연결하고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스마트싱스'와 연결해 다양한 고객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원유현 대동 부회장은 “AI 식물 재배기는 모든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영양분이 가득한 채소를 편리하게 섭취가 가능한 ‘개인 맞춤형 농업 시대’를 여는 제품”이라며 “삼성전자 부스에서 재배기 전시는 AI 기반 당사 미래농업 기술 홍보하고 그 가치를 평가받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highlight@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인천 서구 개발 훈풍에…‘왕길역 아테라’ 미래 가치 주목
- 대한항공, 봄맞이 항공기 동체 세척 행사 실시
- 플러스82, 요거트아이스크림 프랜차이즈 ‘요아잇’ 론칭
- 클레어스, 日 최대 뷰티 행사 'K-코스메' 참가
- 제주항공, 5월 가정의 달 맞아 기내식·에어카페 등 할인
- BMW 모토라드, ‘뉴 R 12 S’ 스페셜 에디션 출시
- SK하이닉스 "청주 M15X 신규 팹, 올 4분기 오픈 목표"
- SK하이닉스 "HBM, 2028년까지 연 50% 이상 수요 증가"
- 에어서울, 돗토리현과 ‘요나고 관광 설명회’ 개최
- SK하이닉스 “낸드, 보수적 생산 기조…단기적 가격 상승"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천 서구 개발 훈풍에…‘왕길역 아테라’ 미래 가치 주목
- 2함평군, 청소년 흡연·음주 예방 교실 운영
- 3대한항공, 봄맞이 항공기 동체 세척 행사 실시
- 4플러스82, 요거트아이스크림 프랜차이즈 ‘요아잇’ 론칭
- 5광주소방 '소방본부 사칭 물품구매 사기 주의' 당부
- 6클레어스, 日 최대 뷰티 행사 'K-코스메' 참가
- 7제주항공, 5월 가정의 달 맞아 기내식·에어카페 등 할인
- 8광주시, 제2차 대기환경관리 5개년 계획 세운다
- 9전남도의회 예결위, 전남도 등 추경예산안 심사·의결
- 10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로봇수술센터, 중부권 최초·최단기 로봇수술 4,000례 달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