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한 인센티브"…마인즈그라운드, 파격 성과제도 실시
경제·산업
입력 2025-02-07 14:59:20
수정 2025-02-07 15:01:33
이혜연 기자
0개
MICE(마이스) 전문 기업 마인즈그라운드는 2025년 경영 성과를 바탕으로 명확한 인센티브 제도와 지급 규정을 통해 전 직원에게 역대급 성과급을 지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파격적인 인센티브 지급은 능동적 업무 태도를 마인즈그라운드의 문화로 정착하고, 장기근속을 유도하여 업무역량의 지속적 성장과 더불어 마인즈그라운드의 업계 경쟁력 강화를 이끌기 위해 제도를 실시하게 됐다. 또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임직원의 노력에 대한 보상을 목적으로 하며 회사와 직원이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무엇보다 2027년 매출 목표 1,000억원 및 시장 확장을 위해서 강력한 기업문화로 정착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과급 지급 대상은 마인즈그라운드 전 임직원이며, 제안작업자 또는 행사 PM(프로젝트 매니저) 경우, 고객만족만 잘 이끌어도 이번에 발표한 성과제도에 따르면 현실적으로 기본급 포함기준, 1억원 연봉이 가능하다.
민환기 대표는 “이번 인센티브 성과제도를 통해서, 회사의 안정적인 성과를 임직원과 공유하고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직원 복지를 강화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인센티브 성과제도에는 총 11가지 있다. 순수익 인센티브, 수주 인센티브, 제안서 작성 인센티브, 고객만족 인센티브, 최대 매출 인센티브, 인재 추천 인센티브, 인사 평가 인센티브, 지속 경영 인센티브, 역량 나눔 인센티브, 지속 발전 인센티브, 지원(관리) 부서 인센티브 등이다.
이 중에서 순수익 인센티브, 지속 경영 인센티브 그리고 인재 추천 인센티브를 눈여겨볼 만하다. 순수익 인센티브 같은 경우는 각 프로젝트별 공정거래위원회 도급 기준 수익률 관리 시 일정 비율을 인센티브로 지급을 하는 매우 객관적인 인센티브 성과제도이다.
지속 경영 인센티브는 목표 영업이익률을 달성하면 전사 직원 기본급 기준 100% 성과급이 지급이 되는 제도이며, 인재 추천 인센티브는 임직원 추천 입사 후, 수습 기간(3개월) 완료 시 추천인에게 100만원~최대 300만원을 익월에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회사의 성장가도와 함께, 임직원들의 가치 증대 및 복지 증대를 위해서 인센티브 성과제도는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AI, 지난해 영업익 2407억 원…전년 比 2.8% 감소
- 롯데케미칼, 지난해 매출 20조 4304억 원…전년 比 2.4% 증가
- SK케미칼, 지난해 영업익 1111억 원···전년比 30% 증가
- 코웨이, 비렉스 인기 제품 첫 달 렌탈료 프로모션 진행
- 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 온산 제련소 방문…전략광물 생산동향 긴급점검
- 대한항공, 지난해 영업익 1조 9446억원…전년比 22.6% 상승
- 혼다코리아, 스포츠 어반 커뮤터 ‘포르자750·350’ 2025년형 출시
- CJ프레시웨이, 지난해 영업이익 940억…전년比 5.3%↓
- “여행길에도 건강” 신세계免, 인천공항에 ‘정관장 스튜디오’ 오픈
- 현대차그룹도 中 생성형 AI 딥시크 접속 차단…해외사업장도 곧 적용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AI, 지난해 영업익 2407억 원…전년 比 2.8% 감소
- 2롯데케미칼, 지난해 매출 20조 4304억 원…전년 比 2.4% 증가
- 3SK케미칼, 지난해 영업익 1111억 원···전년比 30% 증가
- 4이천시, "24시간 동파 대응체계 가동"
- 5고양특례시, "창릉지구...1,792세대 공급"
- 6코웨이, 비렉스 인기 제품 첫 달 렌탈료 프로모션 진행
- 7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 온산 제련소 방문…전략광물 생산동향 긴급점검
- 8대한항공, 지난해 영업익 1조 9446억원…전년比 22.6% 상승
- 9혼다코리아, 스포츠 어반 커뮤터 ‘포르자750·350’ 2025년형 출시
- 10DGB금융 순익 전년比 43.1% 감소…비은행 대손비용 증가 영향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