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 산업 맞춤 ‘AI 랜딩존 서비스’로 AI 전환 속도 높인다
경제·산업
입력 2025-02-25 10:12:44
수정 2025-02-25 10:12:44
이수빈 기자
0개
금융·제조·통신 등 각 산업 특화 서비스 재구성

SK C&C가 지난해 선보인 ‘AI 랜딩존 서비스’는 기업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종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생성형 AI를 호출하고, 기업 맞춤형 AI 서비스 개발 및 운영을 지원하는 AI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다.
이를 통해 고객은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API 호출 만으로 상용 및 오픈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손쉽게 연계하고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인프라를 코드로 표준화·자동화하는 ‘코드형 인프라(IaC)’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자원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다.
SK C&C는 지난 1년 간 ‘AI 랜딩존 서비스’ 운영 경험과 고객 피드백을 반영해 금융·제조·통신·서비스 등 산업별 ‘특화 AI 랜딩존 서비스’를 재구성했다.
고객 클라우드 환경과 무관하게 LLM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물론, 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AI 모델 연계 및 호출, 강화된 보안 기능 등을 포함해 보다 정교한 AI 환경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올해 들어 주목받고 있는 고도화된 멀티 AI 에이전트 구축을 위한 ‘AI 랜딩존’도 함께 제공한다.
단일 AI 모델이 특정 업무만 수행하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여러 에이전트가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처리하면서 애플리케이션 복잡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 병목 현상, 리소스 부족, 보안 취약점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 랜딩존은 복잡한 연동 환경에서도 AI 애플리케이션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K C&C는 고객의 AI 서비스 도입 규모와 목적에 맞춰 다양한 AI 랜딩존 아키텍처를 제공하며,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인 AI 환경 구축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국내 대표 반도체 소재 기업은 MS 애저 클라우드 환경에서 오픈 AI를 활용해 사내 챗봇 서비스를 구축했다. 이 과정에서 ‘AI 랜딩존’의 구축 템플릿과 사전 보안 가이드를 적용해 AI 서비스 개발 기간을 30% 이상 단축했다.
또한 제조·통신·서비스 업계 고객들은 AI 랜딩존의 표준화된 코드형 인프라(IaC)를 활용한 배포 및 운영 자동화를 통해 운영 비용을 10% 이상 절감하고 있다.
앞으로 SK C&C는 ‘AI 랜딩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고객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AI 인프라로 자리 잡도록 만들 계획이다
신장수 SK C&C 클라우드부문장은 “’AI 랜딩존 서비스’는 SK텔레콤과 함께 추진하는 그룹 차원의 산업별 AI 성공 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기반이 되고 있다” 며 “이를 통해 그룹은 물론, 국내 산업 전반에서 AI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인사] S-OIL
- 마세라티, ‘더 아이스’서 그란카브리오 새 모델 공개
- 유한양행, 22년 연속 가장 존경받는 기업 제약부문 '1위'
- 고려대, 초기창업패키지 ‘KU RISE UP DEMODAY’ 성료
- 효성중공업, 인도 최대 전력산업 전시회 ‘ELECRAMA 2025’ 참가
-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윤조에센스' 글로벌 캠페인 전개
- 에어서울, 닌텐도 스위치 대여 서비스 연장
- "車 어워드 휩쓸었다"…람보르기니, 전 라인업 전동화로 수상 행진
- 이스타항공,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제3터미널’로 이전
- "K패션 성지로 변신"…코엑스몰, 패션 브랜드 엄선해 선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