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 은행권 BIS 자본비율 15.58%…환율 상승 영향
금융·증권
입력 2025-03-31 09:37:06
수정 2025-03-31 09:37:06
이연아 기자
0개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BIS 총자본비율은 15.58%로 전분기 말(15.84%) 대비 0.26%p 하락했다고 31일 밝혔다.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3.07%로 전분기 말 대비 0.26%p 떨어졌고, 기본자본비율은 14.37%로 전분기 말 대비 0.28%p 하락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전분기 말 대비 0.03%p 떨어진 6.77%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지난해 4분기 중 환율 상승으로 위험가중자산이 크게 증가한 영향으로 판단했다.
지난해 4분기 위험가중자산은 36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5조3000억원 늘었다.
현재 금융당국이 지정한 규제비율은 보통주자본비율의 경우 8.0%, 기본자본비율이 9.5%, 총자본비율 11.5%, 단순기본자본비율 3.0%이다.
총자본비율을 기준으로 보면, KB·씨티·SC·카카오뱅크가 16%를 상회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면 산업은행은 13.71%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에서는 씨티·SC·카카오뱅크·토스뱅크 등은 14% 이상, KB·하나·신한·수출입은행·케이뱅크 등이 13% 이상으로 나타났다. SC·농협·카카오 등 12개 은행은 전분기 말 대비 보통주자본비율이 하락했지만, 우리·하나·토스·케이는 상승했다.
5대 금융지주의 총자본비율은 KB 16.43%, 신한 15.79%, 우리 15.71%, 하나 15.59%, 농협15.37% 순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올해 들어서도 고환율이 지속되고 있으며 경기회복 지연, 미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는 등 자본여력을 계속 제고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여건 악화시에도 은행이 신용공급 축소 없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ya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첨단재생의료 내년부터 비급여 허용…"실손 재정 부담 우려"
- 콘텐츠 업체가 농수축산업을? 한계기업의 무더기 신사업 예고
- FIU, 두나무에 최대 과태료…봐주기 논란도
- 금융권, 수백조 투입해 '생산적 금융'…리스크 관리는?
- 케이뱅크, 시스템 업데이트로 9일 새벽 서비스 일시 중단
- 엑시온그룹, 3분기 영업익 흑자전환
- 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 흥국에프엔비, 3분기 영업익 27.6% 증가…채널 다변화 본격화
- 코스피, 3%대 급락하며 3900선 붕괴…외인·기관 '팔자'
- 수출입銀, “4분기 수출 전년 동기 수준 1750억 달러”전망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4대 금융지주, 15조 이익에도 부실 대출 급증…NPL 커버리지 ‘역대 최저’
- 2"수능 대박 기원"…유통가, 수험생 응원 마케팅 박차
- 3첨단재생의료 내년부터 비급여 허용…"실손 재정 부담 우려"
- 4콘텐츠 업체가 농수축산업을? 한계기업의 무더기 신사업 예고
- 5스타벅스, 전국 13개 매장에 크리스마스 트리 공간 조성
- 6대도시의 사랑과 죽음
- 7청년이 머무는 사회, 관계가 살아 있는 대한민국
- 8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누적 매출 3조원 돌파…내년 4조 보인다
- 9SSG닷컴, '코리아 세일 페스타' 동참
- 10기장군, 8~9일 '제6회 기장파전 축제'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