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 역대 최대 순익…규제 완화로 올해도 '우상향'
금융·증권
입력 2025-04-17 18:29:11
수정 2025-04-17 18:29:11
이연아 기자
0개
지난해 금융지주사 10곳 순이익 23.8조
업권별 이익, 은행 59.8% 압도적 비중
은행 순익 16.3조…당국, 금리 인상 압박 영향
이복현 원장, 30차례 가까이 금리 인상 압박 발언
경기 하방 압력 확대에도 금융지주사 최대 실적 전망
당국, 금융지주사 대상 규제 완화 속도 올려
[앵커]
지난해 대출금리 인상을 압박한 금융당국 영향으로 예대금리차가 확대됨에 따라 국내 금융지주사 10곳이 총 24조원에 육박하는 수익을 올렸습니다. 올해도 금융지주사들의 최대 실적 경신이 전망되는데, 이에 더해 당국은 금융권 규제 속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감독원의 16일 2024년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 발표에 따르면 10개 금융지주사들의(KB·신한·하나·우리·NH·iM·BNK·JB·한투·메리츠) 연결 당기순이익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한 23조8478억원입니다.
업권별 이익 비중을 보면 은행이 59.8%으로 가장 크고, 보험과 금융투자가 10%대, 여전사가 9.4% 수준입니다.
지난해 금융지주사의 역대급 순익 기록에 일등공신인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6조3000억원으로 1년 사이 1조원이 증가했는데, 이는 지난해부터 가계부채 관리 명목으로 은행권을 향해 대출금리 인상을 압박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발언 등 당국 영향력이 상당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실제 이 원장은 지난해 7월 임원회의를 시작으로 가계대출 금리 관련 발언을 30차례 가까이 하면서 대출금리 인상을 압박했고, 결국 '금융권 최대 리스크는 이복현의 입'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지난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사과한 바 있습니다.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 등의 영향으로 경기하방 압력이 커졌지만, 올해도 금융지주사들의 최대 실적 경신이 전망됩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1분기 연간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17조6197억원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할 것으로 집계됩니다.
여기에 당국이 금융지주사 대상 규제 완화에 속도를 올리면서 수익 다각화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3일 금융지주회사법 개정안 입법예고를 통해 25년 만에 금융지주사의 핀테크기업 지분 보유를 현 5% 제한에서 15%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금융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면, 금융권 전반에 걸쳐 새로운 금융상품 개발과 신규거래 허용을 예고했는데,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현 시장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는 이유로 금산분리 완화에 시동을 거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삼성화재, '다이렉트 건강보험 건강고지 할인' 신설
- 빗썸나눔-동대문구청, 장애인가족 체육대회 개최
- [부고] 심익호(넥사다이내믹스 회장)씨 모친상
- BNK금융, 북극항로 개척 펀드 조성…"그룹 계열사 공동투자 시작"
- NH농협은행, 부동산·법률 콘서트 개최…"종합자산관리 서비스 확대할 것"
- 8월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0.61%…전월比 0.04%p 상승
- 키움증권, 신한카드와 ‘키움증권 HERO 신한카드’ 2종 출시
- 하나은행, 국경 없는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글로벌자산관리센터 오픈
- 오큐라, 런칭 두 달 만에 '누적 매출 30억 원' 돌파
- HD현대일렉트릭, 업황 강력·이익전망 상향…목표가↑-삼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ESG크레딧, '글로벌 기후·무역 리스크 대응 서비스' 강화
- 2완도 신지명사십리, '대한민국 치유길 1호'로 치유 관광 새 지평 열다
- 3삼성화재, '다이렉트 건강보험 건강고지 할인' 신설
- 4쿼드쎄라, 현대백화점 ‘비클린’ 매장 입점…기념 프로모션 진행
- 5시지바이오-넥스젤바이오텍, 장기 지속형 약물전달 플랫폼 공동개발
- 6빗썸나눔-동대문구청, 장애인가족 체육대회 개최
- 7광주시, 우수관로 실태 점검 촉구...“79%가 관리 사각지대”
- 8인천시,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반 구축…국내 기업 수출 지원 본격화
- 9이민근 안산시장, "시민 중심 복지 다짐"
- 10경기도여성가족재단, 화성 궁평항 일대 ‘친환경 실천 플로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