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 사용료’ 논의 재점화…‘무임승차’ 사라질까
경제·산업
입력 2025-06-05 18:28:28
수정 2025-06-05 18:28:28
이수빈 기자
0개
해외 플랫폼 망 사용 ‘무임승차’ 제동 주목
국내 CP, 통신사에 망 사용료 매년 수백억 지불
트래픽 30% 넘어도…해외 플랫폼은 ‘무임승차’
법적 지급 기준 없어…“개별 소송으로 해결해야”

새 정부 출범으로 플랫폼 업계의 오랜 쟁점인 ‘망 사용료’ 논의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시절부터 해외 플랫폼들의 망 사용 ‘무임승차’를 해결하겠다고 공언해왔는데요. 다만 미국이 자국 빅테크 기업에 대한 제재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만큼 통상 문제로 번질 수 있어 해결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국내 플랫폼 업계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망 사용료를 내지 않았던 해외 플랫폼의 ‘무임승차’에 제동이 걸릴 수 있기 때문.
망 사용료는 콘텐츠제공사업자(CP)가 통신사에게 망을 사용하는 대가로 트래픽 양에 따라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카카오,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사들은 물론 티빙, 웨이브 등 국내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기업들은 매년 수백억 원 가량의 망 사용료를 통신사에 지불하고 있습니다.
다만 해외 플랫폼은 이 같은 망 사용료를 지불하지 않는 상황.
유튜브의 경우 국내 트래픽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망 사용료를 전혀 내지 않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경우 지난 2023년 SK브로드밴드와 법적 다툼 끝에 망 사용료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급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해외 플랫폼에 대한 망 사용료 지급 기준이 없어 통신사가 망 사용료를 받으려면 사업자 간 소송을 통해 일일이 해결해야 하는 상황인 겁니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이 같은 불공정한 망 사용 실태를 해결하겠다고 공언해왔습니다.
해외 플랫폼에도 망 사용료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기준을 제도화하겠다는 겁니다.
그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아온 국내 토종 OTT 업체들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해외 플랫폼에 대한 망 사용료 부과가 제도화될 경우 국가 차원의 통상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는 점이 변수입니다.
미국이 자국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움직임을 면밀히 견제하고 있는 만큼 망 사용료 부과에 강하게 반발하거나 보복할 수 있다는 겁니다.
업계에선 통상 마찰을 최소화하면서도 공정한 망 이용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구체적 대책을 마련해 토종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가스공사, E-순환거버넌스와 자원 순환 협약…"전자 장비 재활용"
- 대동에이아이랩, '이동·작업·재배' 농업 3대 AI 개발…"농기계 스스로 척척"
- 태광그룹 일주재단, 33기 장학증서 수여식
- 마사회, 말 학대 방지 위해 ‘말 보호 모니터링센터’ 개설
- 마사회, 장애대학생 진로 탐색 지원…‘기업탐방캠프’ 개최
- 누니, 두 번째 싱글 'Mind Mask' 발매…7월 19일 정오 공개
- 롯데 신동빈, '하반기 VCM' 주재..."CEO 리더십" 강조
- 마사회, 여름철 경주로 관리 총력…무더위 속 안전 최우선
- 이재용 무죄 판결에 중소기업계 환영…"경제회복 기여 기대"
- 마사회, '찾아가는 문화센터’ 확대…아동복지시설과 협약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도인재개발원, '북부 공무원' 품으로
- 2가스공사, E-순환거버넌스와 자원 순환 협약…"전자 장비 재활용"
- 3대동에이아이랩, '이동·작업·재배' 농업 3대 AI 개발…"농기계 스스로 척척"
- 4광주⋅전남 200mm 이상 폭우...시내 곳곳 침수, 정전 잇달아
- 5원주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참가
- 6토스뱅크, 출범 3년 만에 1금융권 안착…"성공 요인은 고객 중심 사고"
- 7태광그룹 일주재단, 33기 장학증서 수여식
- 8원주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월) 지급 준비 박차
- 9원주시,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 정례회 참석
- 10강원특별자치도, 호우 대비 긴급 대책회의 개최
댓글
(0)